
지난 9월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 경제의 성장 축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이동하고 있다. 우리 경제의 핵심 엔진인 제조업의 부가가치 증가율은 미국의 관세 충격과 중국 기업과의 경쟁 심화로 내년에 둔화가 예상되는 반면, 서비스업은 여행·보건 수요 증가에 힘입어 제조업을 앞지를 것으로 관측됐다. 서비스업 자체의 성장세보다는 제조업 위기 탓이다.
17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중기 경제 전망에 따르면 내년 제조업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이 올해(1.8%)보다 낮은 1.5%를 나타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내년 상반기 1.6%에서 하반기 1.4%로 점차 낮아지는 흐름이다. 미국 관세정책 영향이 본격화할 뿐만 아니라 국내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된 여파라고 예정처는 분석했다.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반도체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는 위기감도 나온다. 인공지능(AI) 관련 고성능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수요가 확대되지만 안심할 수 없다. 예정처는 "중국 업체의 공급 확대로 촉발된 지난해 4분기의 가격 폭락과 같이 중국 제품과의 경합이 심화하면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산업도 상황이 좋지 않다. 글로벌 수요 둔화에 더해 미국의 품목 관세 부과는 미국 시장으로 가는 자동차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서비스업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은 내년 2.0%로 올해(1.4%)보다 0.6%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정됐다. 인구 고령화로 보건업 수요가 늘어나며 유가 안정화와 국내외 여행객 증가로 인한 운수업 성장세가 주요 상방 요인이다. 다만 대출잔액 증가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은 소비를 위축시켜 서비스업 성장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중기적으로도 서비스업 우세가 관측된다. 2027년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2.1%로 소폭 회복되지만 이후 2028년과 2029년에는 각각 1.7%에 머물며 다시 1%대 후반으로 내려앉을 전망이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부가가치 증가율 전망치는 2027년 2.1%, 2028년 2.1%, 2029년 2.0%로 나타나 제조업보다 높은 수준을 이어간다.
제조업·서비스업 부가가치 증가율 역전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제조업 저성장이 고착하는 사이 서비스업은 2% 안팎의 성장세를 이어가는 구조가 지속되는 셈이다.
주요 경제기관도 내년 한국 경제가 수출보다 내수 중심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1.8%로 제시하며 "수출은 둔화하지만 내수가 일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17일 국회예산정책처의 중기 경제 전망에 따르면 내년 제조업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이 올해(1.8%)보다 낮은 1.5%를 나타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내년 상반기 1.6%에서 하반기 1.4%로 점차 낮아지는 흐름이다. 미국 관세정책 영향이 본격화할 뿐만 아니라 국내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된 여파라고 예정처는 분석했다.
중국과의 경쟁 심화로 반도체 가격이 떨어질 것이라는 위기감도 나온다. 인공지능(AI) 관련 고성능 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수요가 확대되지만 안심할 수 없다. 예정처는 "중국 업체의 공급 확대로 촉발된 지난해 4분기의 가격 폭락과 같이 중국 제품과의 경합이 심화하면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자동차 산업도 상황이 좋지 않다. 글로벌 수요 둔화에 더해 미국의 품목 관세 부과는 미국 시장으로 가는 자동차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서비스업 실질 부가가치 증가율은 내년 2.0%로 올해(1.4%)보다 0.6%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정됐다. 인구 고령화로 보건업 수요가 늘어나며 유가 안정화와 국내외 여행객 증가로 인한 운수업 성장세가 주요 상방 요인이다. 다만 대출잔액 증가에 따른 원리금 상환 부담은 소비를 위축시켜 서비스업 성장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중기적으로도 서비스업 우세가 관측된다. 2027년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율은 2.1%로 소폭 회복되지만 이후 2028년과 2029년에는 각각 1.7%에 머물며 다시 1%대 후반으로 내려앉을 전망이다. 같은 기간 서비스업 부가가치 증가율 전망치는 2027년 2.1%, 2028년 2.1%, 2029년 2.0%로 나타나 제조업보다 높은 수준을 이어간다.
제조업·서비스업 부가가치 증가율 역전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제조업 저성장이 고착하는 사이 서비스업은 2% 안팎의 성장세를 이어가는 구조가 지속되는 셈이다.
주요 경제기관도 내년 한국 경제가 수출보다 내수 중심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내년 경제성장률을 1.8%로 제시하며 "수출은 둔화하지만 내수가 일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