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7~9월)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 규모가 13조266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0조7030억원) 대비 2조5632억원(23.9%) 증가한 수치로 주택저당채권(MBS)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기초 발행이 확대된 영향이다.
6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5년 3분기 등록 ABS 발행 실적’에 따르면 대출채권 기초 ABS 발행은 확대된 반면, 카드·할부금융 등 매출채권 기초 발행은 줄며 유형별 온도차를 보였다.
대출채권 분야에서는 MBS와 부동산 PF 유동화가 크게 늘었다. 대출채권 기초 ABS 발행은 8조2729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0738억원) 대비 2조1991억원(36.2%) 증가했다. 이 중 주택저당채권(MBS) 발행은 5조1115억원으로 1조1386억원(28.7%), 부동산 PF 기초 발행은 1조1988억원으로 1조1288억원(1612.6%) 증가했다. 반면 부실채권(NPL) 유동화는 1조8786억원으로 517억원(2.7%) 감소했다.
매출채권 기초 ABS 발행은 3조7410억원으로 전년 동기(3조8505억원) 대비 1095억원(2.8%) 줄었다. 카드채권 발행은 1조2593억원으로 2988억원(31.1%) 증가했으나 할부금융채권은 1조3047억원으로 5023억원(27.8%) 감소하면서 전체 매출채권 발행 규모가 축소됐다.
자산보유자별로는 한국주택금융공사와 일반기업의 발행이 늘었다. 주택금융공사는 보금자리론 판매 확대에 따른 MBS 증가로 5조1115억원을 발행해 전년 동기 대비 1조1386억원(28.7%) 늘었다. 일반기업은 단말기할부채권 규모는 비슷했으나 부동산 PF 유동화 확대에 따라 2조3758억원을 발행하며 1조2628억원(113.5%) 증가했다.
반면 금융회사 발행은 5조778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18억원(2.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은행과 여전사의 ABS는 줄었으나, 증권사의 P-CBO 기반 유동화 증가가 이를 상쇄했다.
한편 분기말 기준 등록 ABS 전체 발행잔액은 243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258조8000억원) 대비 15조3000억원(5.9%)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