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움미술관서 예술로 '하나'…장애 아동 부모가 일일 도슨트로

  • 6개 복지기관 장애인과 가족 240명 초청

  • '이불: 1998년 이후', '까치호랑이 虎鵲' 관람

  • 초대 가족 부모가 일일 도슨트로…함께 만들어가는 행사

까치호랑이 虎鵲 전시를 설명하는 장애인 가족의 자원봉사 일일 도슨트의 모습 사진리움미술관
'까치호랑이 虎鵲' 전시를 설명하는 장애인 가족의 자원봉사 일일 도슨트의 모습 [사진=리움미술관]


리움미술관은 지난 3일 지역사회의 장애인과 그 가족을 초청하는 관람 행사를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이날은 정기 휴관일이었지만 보다 편안하고 여유로운 환경에서 전시를 즐길 수 있도록 미술관 문을 열었다. 행사에는 구립용산장애인복지관, 은평구립우리장애인복지관, 용산구 수어통역센터 등 6개 기관의 이용자와 보호자, 봉사자 등 총 240명이 참여했다.

참여자들은 세계적인 한국현대미술가 이불 작가 개인전 '이불: 1998년 이후'와 케데헌 더피의 원조 까치호랑이를 볼 수 있는 '까치호랑이 虎鵲' 상설전시를 두루 감상했다. 

특히 이번 행사는 미술관에 초청된 가정의 부모가 일일 도슨트로 자원봉사를 했다. 도슨트로 참여한 부모 자원봉사자들은 장애가 있는 자녀를 둔 당사자로서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참여자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는 ‘눈높이 전시 설명’을 진행했다. 덕분에 참여자들은 전시 작품에 보다 흥미를 느끼며 관람에 몰입하는 경험을 했고, 리움미술관과 초청 가족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행사를 진행하여 의미를 더했다.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유도화 씨는 “가족들에게 직접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 전시를 공부하는 과정에서 몰랐던 사실들을 알게 되는 과정이 즐겁고 보람이 있었다"며 "내 이야기에 귀기울이고 질문을 하는 가족들을 보면서 예술이 서로를 잇는 언어임을 새삼 느꼈다”고 전했다.

류문형 삼성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장애인을 위한 프로그램이 일회성에 머물지 않고, 예술이 우리 사회의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들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리움미술관 역시 모두에게 열려 있는 예술 공간으로서 사람과 사람을 잇는 따뜻한 경험을 함께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리움미술관은 2022년부터 매년 초청 프로그램을 이어왔다. 장애인, 다문화 가정, 노인, 저소득층 청소년 등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해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누적 초청 인원은 약 1800명에 이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