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산업생산 반등, 설비투자도 증가…소매판매는 2달 연속 감소

30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사진연합뉴스
30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사진=연합뉴스]

9월 산업생산이 한 달 만에 반등하며 플러스 전환했다. 다만 소비 부진이 이어지면서 소매판매는 두 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국가데이터처가 31일 발표한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는 115.5(2020년=100)로, 전달보다 1.0% 증가했다. 산업생산은 지난 4~5월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6~7월 증가세로 돌아섰다가 8월 0.3% 감소한 바 있다.

 

세부적으로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18.3%) 부문 부진으로 1.2% 감소했지만, 건설업 생산이 11.4% 늘어나며 전체 산업생산을 끌어올렸다.

 

소비 지표는 여전히 부진했다.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달보다 0.1% 줄며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감소폭은 8월(-2.4%)보다 완화됐다. 지난 7월 소비쿠폰 지급으로 나타난 일시적 소비 진작 효과가 사라지면서 내수 회복세가 다시 약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투자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류 등 투자가 늘며 전월 대비 12.7% 증가했고, 건설기성(불변)도 11.4% 확대됐다.

기획재정부는 9월 전산업생산이 지난 6월(1.6%)에 이어 3개월만에 최대폭 증가하는 등 새정부 출범 이후의 경기 회복 흐름이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서비스업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 등으로 31개월만에 최대폭 증가(1.8%)하며 전산업생산 증가를 주도했다. 

또 그간 생산 증가를 제약하던 건설기성이 20개월만에 최대폭 증가(11.4%)하고, 설비투자가 7개월만에 최대폭 증가(12.7%)한 것도 향후 경기에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했다. 

분기별로는 올 3분기 전산업생산이 전년동기대비 2.8% 늘며 8개 분기만에 최대폭 증가했다. 지출 측면에서도 소매판매(1.5%)·설비투자(2.0%)가 증가하며 고른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소매판매는 전년동기비 기준으로 14개 분기만에 증가로 전환했다.

정부는 경기회복 모멘텀이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 노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국익을 최우선에 두고 한미 관세협상 후속조치에 만전을 다하면서 내수 활성화를 위해 2차 민생회복소비쿠폰, 대규모 합동 할인축제(10.29~11.9일) 등을 차질 없이 시행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