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3주기] 참사 3년만 정부 첫 공식행사...유가족 "치유는 진상규명으로 시작"

  • 이 대통령 "그날 국가는 없었다" 허리 숙여 사과

  • 우원식 "특조위, 늦은 만큼 진상조사에 힘쓸 것"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유가족들이 참석해 무대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9일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10.29 이태원 참사 3주기 기억식에서 유가족들이 참석해 무대를 바라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3주기를 맞은 29일 정부가 주최한 첫 기억식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유가족들은 한 목소리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이날 오전 10시 29분, 시계 분침이 이태원 참사를 상징하는 숫자를 가리키자 서울 전역에 추모 사이렌이 1분간 울렸다. 사이렌을 시작으로 이태원 참사 3년만에 정부 차원의 첫 공식 추모행사가 시작됐다.

행사가 열린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는 '별들과 함께, 진실과 정의로'라는 제목으로 기억식이 열렸다. 10·29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 서울시, 행정안전부가 공동으로 개최한 이번 기억식엔 주최 측 추산 850여명이 참석했다. 정부 공식 초청으로 방한 중인 외국인 유가족 46명을 포함해 국내외 유가족 300여명이 기억식에 자리했다.

묵념이 끝난 후 이재명 대통령의 추모사 영상이 상영됐다. APEC 행사로 추모식에 오지 못한 이 대통령은 영상으로 추모사를 대신했다. 이 대통령은 "그날 국가는 없었다"며 "지켜야 했던 생명을 지키지 못했고 막을 수 있던 희생을 막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모든 발언을 마친 후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허리숙여 인사했다.

이어 무대에 오른 고(故)이재현 군의 어머니 송혜진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치유는 진상 규명부터 시작된다"며 진상규명을 강조했다.

송 위원장은 "지난 3년간 이태원 참사 유족은 국가로부터 외면당했다"며 "오늘부터는 말이 아닌 행동으로 형식이 아닌 진심으로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 실천으로 보여달라"고 정부에 당부했다.

송 위원장의 발언이 끝나자 추모 영상이 상영됐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이 국회와 거리에서 투쟁하며 10·29 이태원참사 특별법 통과시킨 현장이 담겼다. 영상이 재생되자 자리한 유가족 몇몇은 챙겨온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고 핸드폰으로 영상을 직접 촬영하기도 했다.

이어 연단에 오른 우원식 국회의장은 유가족이 그간 염원해왔던 생명안전기본법의 통과와 희생자 2차 가해 방지 등을 약속했다. 우 의장은 지난해 6월 출범한 특별조사위원회를 언급하며 "늦은 만큼 빈틈 없는 진상조사에 힘쓰겠다"며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가장 큰 책무라는 국민적 합의를 반드시 입법으로 완성해내겠다"고 다짐했다.

우 의장에 이어 무대에 올라온 송기춘 특조위원장 역시 철저한 진상규명 의지를 밝혔다. 송 위원장은 "진상조사와 파해 구제를 위해 피해자 유족께 연락을 드리면 '이제와서 뭐하냐'고 말씀하시기도 한다"며 "하지만 치유의 시작은 진상규명"이라고 말했다.

출범 약 9개월 만인 지난 6월 활동을 시작한 특조위는 현재 △희생자 신청사건 92건 △피해자 신청 22건 △피해자 직권 123건 △진상규명을 위한 직권 6건 △안전사회를 위한 직권 과제 8건 등 총 251건에 대한 조사 개시 결정을 해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문화예술인들도 무대에 올라 유가족들을 위로하는 공연을 펼쳤다. 박소란 시인의 '가을밤 산책' 낭독을 시작으로 가수 안예은의 노래, 배우 문소리의 추모글 낭독 등이 이어졌다.

박 시인의 낭독이 시작되자 곳곳에선 울음소리가 터져 나왔다. 입술을 다물고 하늘을 응시하던 유족들도 낭독이 끝난 후 안 씨의 노래가 시작되자 결국 눈물을 터뜨렸다. 외국인 유족 일부는 허리를 숙인 채 오열했고 유족은 서로를 토닥이며 위로하기도 했다.

과거 함께 일했던 동료가 이태원 참사로 희생됐던 배우 문 씨도 추모글을 낭독했다. 문 씨는 이창동 감독 영화 '시'에 나왔던 시 '아녜스의 노래'를 낭독하며 눈물을 흘렸다.

기억식이 끝난 후 고(故) 최보성 어머니 김숙희 씨는 취재진을 만나 "내일이 아들 생일"이라며 눈물을 흘렸다. 김씨는 "유족이 바라는 건 적극적인 진상규명"이라며 "어떤 방향으로 수사하겠다, 지금은 어떤 단계에 있다 이런 걸 (정부가) 적극적으로 보여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씨는 "며칠 전에 보성이 누나가 꿈을 꿨는데 '보성이가 나와서 웃고 있었다'고 말했다"며 "보성이가 웃은 것처럼 그날의 아픔을 잊기 위해 꼭 진상규명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