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코 사장 "IMF 부실채권 1조8000억, 새도약기금으로 정리 가능"

  • 캠코 인수 부실채권 중 1조7704억원어치 남아

  • "내년 상반기까지 1조4000억 채무 정리"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이 23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 공공기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이 23일 부산 남구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의 금융 공공기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인수해 보유 중인 부실채권을 새도약기금에 매각한다.

정정훈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사장은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캠코가 IMF 때 인수한 장기연체 채권을 새도약기금으로 조정할 수 있냐"는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정부는 이달 7년 이상·5000만원 이하 장기 연체채권을 매입하는 배드뱅크인 새도약기금을 출범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에 따르면 캠코가 2000년 인수한 부실채권 22만8293건(채권액 5조1577억원) 중 올해 8월 말 기준 2만1433건(1조7704억원)이 아직 남아있다. 이 가운데 개인 채무는 1만8010건(3662억원)이고 법인은 3423건(1조4042억원)이다.

정 사장은 'IMF 때 인수한 장기연체채권도 새도약기금으로 조정될 수 있냐'는 박 의원의 질문에 "당연히 가능하고 이번 달 중 처음으로 새도약기금 채권을 매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캠코의 장기 연체 채권을 새도약기금에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의에는 "새도약기금 요건에 맞지 않는 보유 자산에는 새도약기금과 동일한 수준 이상으로 자체 채무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사장은 "캠코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채권은 운영 프로그램에 맞으면 더 적극적으로 채권 소멸시효를 완성하거나 소각할 계획"이라며 "내년 상반기까지 1조4000억원을 차질 없이 정리하겠다"고 답했다.

역대 배드뱅크처럼 기금이 중단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한 질문에는 "기금에 모인 금액과 당초 추산한 금액과 차이는 있겠지만 프로그램 자체가 돈을 아예 못 쓰게 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업계의 새도약기금 참여 여부에 대한 관심도 이어졌다. 대부업계는 매입가율을 두고 캠코 측과 의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정 사장은 "대부업 협회는 협약에 가입했다"며 "대부업계에서 최대한 많이 가입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인센티브도 논의하겠다"고 했다.

채권 일괄매입 방식으로 유흥·도박 등 사행성 채무도 탕감될 수 있다는 지적 역시 테이블 위에 올랐다. 정 사장은 매입 이후 대출 서류의 사업장 코드를 보고 사행성이거나 유흥주점의 사업자 대출은 환매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개인 빚에서는 가려내지 못하는 만큼 증권사에 빌린 빚 등은 제외해 최대한 가려내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