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로 데뷔한 이래 본능적 연기로 한국 영화계에 깊은 인상을 남긴 류승범은 이번 작품에서도 독보적 에너지를 발산한다. '부당거래' '베를린' '타짜: 원 아이드 잭' 등으로 축적된 카리스마에 더해 최근 '무빙'과 '가족계획'에서 보여준 액션과 감정의 결을 고스란히 녹여냈다. 위트를 잃지 않는 냉혹함 권력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태도. 류승범 특유의 이중적 매력이 다시 한번 시청자를 압도한다.
"새로운 영화라는 느낌을 받았어요. 개인적으로 이런 영화를 접해본 적이 없었던 것 같아요. 장르적으로도 감정적으로도 낯설었고 그래서 더 새로웠어요. 그게 제겐 흥미로운 도전이었죠."
그 도전의 중심에는 동갑내기 변성현 감독이 있었다.

류승범은 현장에서 본 변 감독에 관해 언급하기도 했다.
"세팅하는 시간에 오아시스 음악을 틀더라고요. 순간 '아 확실히 우리 세대구나' 하고 느꼈어요. 촬영 현장에서 뭔가 새롭고 낯선 걸 계속 시도하려는 모습이 정말 매력적이었어요. 틀을 벗어나려는 용기랄까. 그런 시도가 배우 입장에서는 자극이 되고 현장을 생동감 있게 만들어주죠. 그 모든 시간이 즐거웠습니다."
류승범은 '굿뉴스'에서 1970년대 중앙정보부장 '박상현'을 연기했다. 권력의 정점에 선 인물 냉철한 판단과 교활한 처세로 위기를 조용히 수습해야 하는 위치. 그러나 류승범에게 이 인물은 처음부터 낯설고 쉽게 다가설 수 없는 존재였다.
"1970년대 정보부장은 저에게 너무 먼 인물이었어요. 그 시대의 권력자가 가진 특유의 분위기나 권위가 있잖아요. 그런 걸 접해본 적이 없어서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막막하고 걱정이 많았어요. 실제 사건을 일부 다루긴 하지만 이 영화는 장르적으로 영화적인 틀을 강하게 가지고 있어요. 리얼리티로만 접근하기보다는 영화의 세계관 안에서 배우가 창조할 수 있는 부분을 믿고 그 중간 지점을 잡으려고 했어요. 처음엔 너무 먼 캐릭터라 접근이 쉽지 않았지만 그 거리감 자체가 박상현의 차가운 결을 만들어줬던 것 같아요."

그는 캐릭터의 언어적 표현에 있어 과감한 실험을 시도했다.
"대본을 탐구하던 중에 문득 충청도 사투리가 떠올랐어요. 언어가 가진 특성이 이 인물과 잘 맞을 것 같았죠. 충청도 사투리는 느릿하고 유연하지만 그 안에 미묘한 긴장감이 있어요. 겉으로는 부드럽지만 속은 알 수 없는 이중성이랄까. 그게 '박상현'의 성격과 잘 어울린다고 생각했어요. 캐릭터보다도 영화 전체의 톤과 결을 맞추기 위해 선택한 아이디어였죠."
류승범에게 캐릭터를 탐구하는 시간은 그 자체로 큰 즐거움이다.
"촬영 현장은 육체적인 노동이라면 준비 과정은 정신적인 탐험 같아요. 아무것도 없는 공간에서 상상할 수 있고 그 상상이 캐릭터의 뼈대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즐겁죠. 평소엔 잡생각을 줄이려 하지만 이때만큼은 마음껏 생각을 흘려보낼 수 있으니까요. 그런 시간들이 결국 작품의 에너지로 쌓이는 것 같아요."
류승범은 '굿뉴스'를 통해 국내외 배우들과 폭넓은 호흡을 나눴다. 그는 “제가 감히 설경구 선배님과의 호흡을 말할 존재는 아니죠”라며 웃었다.
"선배님과 함께 작업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감사하고 뜻깊은 일이었습니다. 현장에서 선배님을 뵙고, 그 에너지를 바로 옆에서 느끼며 연기할 수 있다는 게 그저 기뻤어요. 그 시간이 제게는 큰 배움이었죠."
일본 배우들과의 협업 또한 인상 깊은 경험이었다.
"처음엔 낯설지 않을까, 언어 장벽이 있지 않을까 걱정했어요. 그런데 막상 촬영을 해보니 언어가 통하지 않아도 배우들끼리만 느낄 수 있는 흐름이 있더라고요. 그게 마치 보이지 않는 연대감처럼 느껴졌어요. 현장에 함께 있으면 어색할 거라 생각했는데 오히려 '아, 우리는 같은 배우구나.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이구나' 하는 공통점을 느끼면서 마음이 편안해졌어요."

그는 배우들 간의 호흡을 “에너지의 흐름”이라고 표현했다.
"결국 현장에서 주고받는 감정과 시선이 플로우처럼 흐르잖아요. 그런 교감이 생기면 언어보다 빠르게 통하고, 서로 의지하게 돼요. 동료로서의 믿음, 그게 이번 작품의 큰 힘이었습니다."
류승범에게 '굿뉴스'는 낯설지만 흥미로운 도전이었다. 사회적 풍자와 냉소가 공존하는 블랙 코미디는 그에게도 새로운 장르였다.
"이 장르를 처음 해봤어요. 정말 신선했어요. 블랙 코미디의 매력은 감독님들마다 다르게 풀릴 수 있겠지만, 이번 작품을 통해서 그 특유의 냉소와 유머가 공존하는 리듬을 느꼈어요. 묘하게 불편하면서도 웃음이 나는 감정이 있잖아요. 그게 참 매력적으로 다가왔어요. 새로운 장르를 경험해볼 수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제게는 기쁜 시간이었죠."
그는 '굿뉴스'를 여전히 "진행 중인 일"로 느끼고 있었다.
"이 영화는 저에게 아직 끝나지 않은 일인 것 같아요. 관객들이 어떻게 보고, 어떤 반응을 보이느냐에 따라 작품이 완성되는 느낌이에요. 각자 다른 시선으로 영화를 보고, 그 해석들이 섞이고 공유되면서 비로소 마감되는 거죠. 그래서 아직 의미를 정의하거나 결과를 평가하기엔 이른 시점인 것 같아요. 지금은 그저 이 작품이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어디로 흘러갈지를 호기심 있게 지켜보고 있는 중이에요."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