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민상 오토노머스에이투지 최고전략책임자(CSO·상무)는 21일 서울 여의도 FKI 타워에서 진행된 '2025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 창립 30주년 자동차 정책 세미나'에 참석해 '자율주행자동차 현주소와 자율주행시대를 준비하는 해외사례를 통한 시사점'을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유 상무는 "미국은 캘리포니아에서만 구글의 웨이모가 누적 16조2000억원을 투자해 1000여대의 자율주행을 자체 예산으로 제작해 운영하고 있다"며 "하지만 국내에서 가장 많은 투자를 유치한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의 투적 투자 금액은 820억원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울주행 선도국인 미국은 경쟁국인 중국 기업을 제한하는 법안을 발효하며 장벽을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은 2027년 중국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2030년에는 하드웨어를 미국 내 수입 및 판매를 금지할 예정이다.
유 상무는 급속한 고령화로 운전 인력의 공백이 다가오고 있는 만큼 대중교통에 선제적으로 자율주행을 도입해 산업을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총 인구 대비 65세 이상 비율은 2010년 11%에서 2030년 24.3%로 급증할 전망이다.
유 상무는 "지난해 9월 기준 전국버스기사의 평균연령을 보면 65세 이상이 18.9%에 달하며, 서울시에는 91세의 운전기사도 있다"며 "아직 자율주행이 완벽하지는 않지만, 운전면허증이 갓 나온 초보운전자도 운전이 허용되는 만큼 기술 공감대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율주행차 시대로의 전환과 경쟁력 확보는 자율주행차 생태계 기반 조성에 있어 기업과 학계의 연구와 투자와 노력,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유연한 제도 운영 등 관련 자원의 융합과 협력이 첫 단추"라고 주장했다.
틸 셰어 KAIDA 회장은 "회원사들은 자율주행, 커넥티드카, 인공지능(AI) 기반 차량 관리 등 첨단 기술을 한국 시장에 선도적으로 도입하고자 한다"며 "특히 전동화와 자율주행 분야는 한국 정부의 정책 로드맵을 고려해 다방면의 검토와 투자가 계획되고 있으며, 첨단 자동차 분야 발전을 위한 기술 교류 및 제도적 지원은 한국 자동차 산업을 한단계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