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AI) 기술 실증 사업을 추진하며 ‘AI 실증도시 광주’의 브랜드를 강화하고 있다.
시민 생활과 밀접한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해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혁신 기술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20일 광주시에 따르면 올해 ‘창업기업제품 실증지원사업’에 45개 회사와 ‘AI실증’ 4개 회사를 선정한데 이어 22개 회사와 함께 다양한 실증장소를 연계한 실증사업도 함께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도심의 공원, 공공청사 등 공공 실증자원 3300여 곳을 확보해 혁신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다양한 환경에서 자유롭게 시험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또 인공지능 기반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창업기업 실증 지원사업을 통해 연 35억 원의 예산을 들여 ‘AI 실증도시 광주’ 브랜드를 키우고 있다.
주요 실증사업으로는 △인공지능(AI) 맞춤형 스킨케어 △거대언어모델(LLM)기반 심리상담 △인공지능(AI) 감지센서 활용 어린이 보행자 안전지킴이 △자전거도로 인공지능(AI) 안전관리시스템이다.
광주시 청사 1층 열린공간은 시민들이 인공지능(AI) 기술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새롭게 바꿨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창업진흥센터 입주기업인 ‘닥터케이헬스케어㈜’는 시청사 1층에서 ‘AI 맞춤형 스킨케어 솔루션 기기’ 실증을 진행하고 있다.
이 기기는 특수 렌즈로 개인별 피부 상태를 정밀 분석하고 인공지능(AI)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시민들이 자유롭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확인하고 지역 화장품 기업의 제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 화장품 기업들은 확보된 데이터를 활용해 수요자 맞춤형 제품 개발 및 사업화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시 창업기업제품 실증 지원 사업에 선정된 ‘㈜헬프티쳐’가 개발한 ‘무인 인공지능(AI) 상담실’도 시청사 1층에 설치돼 있다.
국내 최초로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다중 양식(멀티모달) 감정 분석 기술이 탑재된 이 상담실은 상담자의 음성, 표정, 텍스트를 동시에 인식해 실시간 감정 상태를 분석하고, 지피티(GPT) 계열 모델이 공감형 대화를 제공한다.
광주시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중심) 도시 광주’를 실현하기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교통안전 실증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또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협력해 광산구 쌍암공원 부근의 자전거도로에는 ‘AI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치,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의 이동을 예측하고, 도로 바닥 LED 조명으로 긴급 알림을 제공하는 실증도 추진할 예정이다.
손두영 미래산업총괄관은 “광주가 추진해 온 여러 인공지능(AI) 사업들이 시민들 생활에 자연스럽게 안착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실증사업을 통해 기업이 보유한 각종 기술들이 시민 삶 속에서 살아 숨쉬는 환경을 지속해 만들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