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도 '캄보디아 사기' 경고…"고수익 미끼로 외국인 감금·강제 노동"

  • 日 외무성, '취업을 빌미로 한 사기'에 대한 경고 별도 명시

캄보디아 시하누크빌에 있는 범죄 단지로 추정되는 건물 모습 사진연합뉴스
캄보디아 시하누크빌에 있는 범죄단지로 추정되는 건물 모습. [사진=연합뉴스]
한국에서 캄보디아발 대규모 온라인 사기 범죄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일본 정부도 이미 수년 전부터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 '캄보디아 취업 알선 사기' 피해를 경고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일본 외무성 해외안전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캄보디아의 태국 접경 일부 지역에 '여행 중지 권고(레벨 3)'를 발령하고, 그 외 지역은 '충분한 주의 요망(레벨 1)' 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외무성의 해외 위험정보는 4단계로 나뉘며 '여행 중지 권고'는 '대피 권고(레벨 4)' 다음으로 높은 수준이다. 가장 낮은 단계는 '충분한 주의', 그다음은 '불요불급한 여행 중지(레벨 2)'에 해당한다.

특히 일본 외무성은 '취업을 빌미로 한 사기'에 대한 경고 문구를 별도로 명시하고 있다. 외무성은 “최근 '해외에서 단기간 고수익', '간단한 번역 업무' 등 좋은 조건의 일자리를 내세워 외국행을 권유한 뒤, 캄보디아 도착 직후 여권과 연락 수단을 빼앗고 외출을 제한해 감금 상태에 두며 전화사기 등의 불법 행위에 강제로 종사시키는 사례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해자뿐 아니라 가해자도 외국인인 경우가 적지 않다"며 "지인 등의 소개로 캄보디아 취업을 검토·예정하고 있다면, 위와 같은 정세를 충분히 이해하고 섣불리 권유에 응하지 말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근무처의 신뢰도와 안전 확보 여부를 면밀히 확인하고,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출국 자체를 중단하는 방안도 염두에 두어 신중히 판단해 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주캄보디아 일본대사관 역시 2022년 8월, 유사한 내용의 주의 공지문을 홈페이지에 게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캄보디아를 거점으로 한 사기 사건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마이니치신문 등에 따르면, 아이치현 경찰은 지난 7일 일본인 29명을 관리하며 전화 사기 범죄를 저지른 중국인 2명을 체포했다. 이들은 캄보디아 북서부 포이펫에서 아이치현 거주 일본인에게 전화를 걸어 경찰을 사칭하고 500만엔(약 4730만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고 있다.

한편 일본 언론은 캄보디아에서 범죄에 가담했다가 구금됐던 한국인 64명이 전날 송환된 사건을 계기로,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확산하는 사기 범죄의 실태를 집중 조명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한국인 학생이 캄보디아 사기 조직에 납치·살해된 것으로 드러났다"며 중국계 범죄 조직의 거점이 확산하면서 동남아시아가 다시 특수사기 문제로 흔들리고 있다고 전했다.

이 신문은 "한국인과 베트남인이 허위 구인 광고에 속아 감금 상태에 놓이고, 일본인이 피해를 입는 사례도 적지 않다"면서 "하루에 12시간 이상 전화나 SNS를 통해 사기 행위를 강요당하고, 정해진 목표(실적)를 채우지 못하면 폭행을 당했다는 증언도 잇따르고 있다"고 전했다.

아사히신문도 "한국 젊은이들이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일이 있다'고 권유받아 캄보디아에 갔다가 사기 조직에 감금되는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며 "한국 사회에서 충격이 확산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