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 장관은 16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열고 "대전센터에서 스토리지 복구를 본격화해 복구 작업에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국민 일상에 영향이 큰 보훈서비스, 법령정보서비스 등 1·2등급 포함 미복구 289개 시스템은 우선 10월 말까지 복구를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법제 교육 등 기타 76개 시스템은 다음 달 20일까지 서비스를 재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중대본은 당초 지난달 26일 화재 이후 완전 복구까지 한 달이 걸릴 것으로 관측한 바 있다.
이날 오전 6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 709개 중 324개가 정상화됐다. 현재까지 전체 시스템 복구율은 45.7%다. 여전히 복구가 되지 않은 시스템은 385개로, 이 중 20개는 대구센터로 이전한 상태다. 대구센터로 이전한 시스템의 복구 시점은 미정인 상태다.
아울러 화재로 인한 건물 안정성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대전센터 건물 구조진단 실시와 함께 이전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복구 기간중에는 주요 시스템을 중심으로 수기 접수·처리, 대체사이트 제공 등을 지속적으로 안내해 불편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안전·보안·신뢰’ 복구 3대 원칙 이행을 위해 현장 인력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사이버 위협과 물리적·관리적 보안까지 입체적으로 점검했다.
특히 이번 신규 장비 도입은 장비 하중을 고려해 배치했으며 고온의 화재로 인한 건물 안전성 영향 분석을 위해 국정자원 대전센터 건물 구조진단을 실시해 복구과정에서 안전 원칙 이행을 더욱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윤 장관은 “국정감사 지적사항을 무겁고 겸허한 마음으로 받아들여 정보시스템 관리체계를 쇄신하는 기회로 삼겠다”며 “복구 일정 내 서비스 재개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국정자원 대전센터 건물 구조진단 실시 등 안전한 복구도 병행하여 온전한 복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