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고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전담하는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구축사업(혁신공정사업)의 운영위원회를 개최해 주요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추진방향을 논의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운영위원회는 산학연 전문가 20여명이 참석해 지난 7년간의 특허·논문·매출 등 정량성과 현황, 참여기업의 사업화 성공사례, 혁신공정센터의 운영방안 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진행됐다.
혁신공정사업은 한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OLED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기획된 사업으로 고성능·저가격 백플레인, 고효율·장수명 발광재료 등 단기간 추격이 어려운 초격차 기술 확보와 초실감 XR기기, 멀티모달 등 소비환경을 선제적으로 반영한 미래시장 선점을 목표로 총 200여개 기관이 협력해 74개의 연구개발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해당 사업을 통해 '올-잉크젯' 프린팅 기술이 적용된 '잉크젯 OLED 디스플레이(삼성디스플레이)', 최대 20%까지 늘어나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등 초격차 기술 확보와 폴딩·롤링 평가시스템(플렉시고) 등 폼팩터 관련 공정장비 기술 확보로 자립 기반을 강화했다.
또 기존 대비 색재현과 광효율이 높은 RGB Direct FMM 방식의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멀미현상을 줄인 광학렌즈 등 핵심 요소기술 개발을 통해 XR시장 주도를 위한 기반도 마련했다.
아울러 혁신공정사업을 통해 구축된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는 중소·중견기업이 신소재·신공정을 조기에 검증하고 양산적용 가능성까지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로, OLED공정 핵심장비를 포함한 총 65대 장비를 활용해 현재까지 총 39개 업체 210건의 지원이 이뤄졌다.
운영위원회에서는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중국 정부의 대규모 지원에 따른 중국기업의 급성장과 글로벌 경쟁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의 버팀목인 OLED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유지·강화할 필요가 있다"며 "혁신공정사업의 성과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승우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디스플레이는 단거리 승부가 아닌 마라톤처럼 긴 여정이 필요한 산업"이라며 "글로벌 초격차라는 결승점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과 민간의 끈기 있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