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회장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하고 조만간 차기 회장 후보 압축 후보군(쇼트리스트)을 추릴 예정이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내년 3월 임기가 만료된다. 금융권에서는 11~12월쯤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연임 여부가 판가름 날 것으로 보고 있다. 진 회장은 숫자로 나타나는 경영 실적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진 회장 취임 당시 3만5750원이던 주가는 이달 29일 기준 7만900원으로 98% 뛰었다. 진 회장 임기 동안 배당은 주당 5400원 이뤄지면서 총배당이익(취임일 종가 기준)은 15.1%로 집계됐다. 총주주수익률은 113%에 달한다.
재일동포 주주를 대표하는 이사진이 진 회장을 신임하는 것도 연임에 힘을 실을 수 있다. 사외이사 9명 중 김조설·배훈·전묘상 사외이사 등 3명(30%)은 일본에서 주로 활동하는 이들로 재일교포 측 인사로 분류된다.
하지만 이들이 윤석열 정부에서 임기를 시작한 만큼 사퇴 압력을 받을 수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주인 없는 회사'로 불리는 금융지주사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치권의 인사 개입을 받아왔다. 실제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4대 천황'이라 불리던 강만수·어윤대·김승유·이팔성 등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이 각종 논란 속에 물러났다. 윤석열 정부도 대선 이후 불과 1년여 만에 농협금융·신한금융·우리금융·KB금융 등 4대 금융지주 회장을 교체하며 정권 색채를 뚜렷이 했다.
이를 의식한듯 임 회장은 앞으로 5년간 생산적 금융에 총 80조원을 투입하겠다고 선언했다. 새 정부와 결을 맞추는 동시에 연임 의지를 분명히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진 회장도 생산적 금융을 전담하는 '애자일 조직'을 신설하는가 하면 이달 10일에는 "은행의 담보 위주 관행은 선구안 부재에서 비롯됐다"고 발언하는 등 자세를 낮추는 모습을 보였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재명 정부 들어 필요시 윤석열 정권 인력을 그대로 두고 있어 좀처럼 감을 잡을 수 없다"며 "새 정부 출범에 공을 세운 경제관료들이 논공행상 차원에서 금융지주 회장 자리에 욕심을 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