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채권시장 심리 악화…"고금리 장기화와 통화정책 불확실성 확대"

사진금융투자협회
[사진=금융투자협회]

채권 전문가들은 전 세계적으로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고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며 10월 시장금리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금융투자협회는 지난 19∼24일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7%가 금리가 보합세일 것으로 내다봤다고 '2025년 10월 채권시장지표'를 통해 30일 밝혔다.

나머지 응답자 가운데 금리가 오를 것으로 내다본 응답자는 19%로 전월의 14%보다 5%포인트 높아졌다. 금리가 떨어질 것으로 본 응답자는 34%로 전월보다 2%포인트 올랐다.

금투협은 "글로벌 고금리 기조가 장기화하고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10월 금리 상승, 금리 하락 응답자가 모두 전월보다 증가했다"고 말했다.

10월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본 응답자는 34%였고, 물가 하락 응답자 비율은 4%로 나타났다.

물가가 높아지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확대되면서 금리 상승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물가 상승을 전망하는 응답자가 많다는 것은 물가 관련 채권시장 심리가 그만큼 악화했음을 의미한다.

환율 관련 채권시장 심리도 악화했다.

한미 관세 협상 불확실성 확대로 달러 강세 압력이 확대되면서 10월 환율이 상승할 것으로 본 응답자는 20%, 환율 하락 응답자는 11%로 나타났다.

환율 상승으로 원화가 약세를 띠면 수입 감소로 경상수지와 성장률이 개선되고 이는 '위험자산 선호 증가 → 채권수요 감소 → 금리 상승'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0월 채권시장 종합 지표(BMSI)는 99.1로 전월의 110.4보다 악화했다고 금투협은 밝혔다.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을 통해 산출되는 BMSI는 채권시장의 심리를 나타내는 것으로, 100 이상이면 채권가격 상승(금리 하락)이 기대되는 등 시장 심리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투협은 "금리 전망에서 상·하방 응답이 모두 증가해 변동성이 확대했고, 물가 상승과 코스피 강세 기대감 등이 맞물려 10월 채권시장 심리는 전월보다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