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중장년층 절반 이상이 재취업이나 직업 전환을 준비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직자가 원하는 희망 임금과 기업이 제시하는 임금은 최대 181만원 차이가 났고 고용 형태에서도 정규직 선호와 기간제 중심의 기업 수요가 엇갈리며 간극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서울시와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지난 23일 중장년 정책포럼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서울 중장년 일자리 수요조사 심층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에는 구직자 1만명과 기업 450곳이 참여했다.
분석에 따르면 서울 거주 만 40∼64세 인구 350만명 중 187만명(53.7%)이 향후 5년 내 이직·재취업·직업 전환을 적극 준비 중이었다. “기회가 되면 시도하겠다”는 잠재 수요까지 포함하면 289만명(82.6%)으로 늘어난다.
중장년 구직자들의 최우선 목적은 생계유지(82.3%), 가장 중요한 조건은 임금수준(62.3%)이었다. 희망 임금은 월평균 381만원, 수용 가능한 수준은 331만원이지만 기업이 제시하는 임금은 200만~300만원대가 대부분이었다.
정규직 선호도는 여전히 높지만 연령이 올라갈수록 무기계약·기간제 수용이 늘었고 여성은 4대 보험과 직장 거리, 남성은 임금과 4대 보험을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포럼에서는 50플러스재단이 정흥준 서울과기대 교수와 수행한 '기업의 중장년 채용 수요 및 제도 인식 조사' 결과도 발표됐다.
기업 조사에서는 제조업(25.3%)과 도·소매업(14.9%)에서 중장년 채용 의향이 가장 높았다. 40대를 선호하지만 운수·제조업 등 일부 업종은 60대 수요도 존재했다.
지불 가능한 임금 수준은 200만원대(42.1%) 또는 300만원대(32.9%)가 주를 이뤘다. 제조업·건설업·정보통신업에서는 300만원 이상의 고임금 채용수요도 있었다.
기업은 중장년에게 문제해결·대인관계 능력과 책임감을 기대했고 가장 필요한 지원은 고용지원금(63.9%)이라고 답했다.
전문가들은 “중장년 일자리 정책의 핵심은 세대별 맞춤 설계와 기업 수요 정합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것”이라며 “체계적 데이터 축적을 통해 정책을 정밀하게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내년 3월 문을 여는 ‘중장년취업사관학교’를 거점으로 중장년 정책을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마포·광진·은평·도봉·구로 등 5개 권역에서 시작해 2028년까지 16개소로 확대할 예정이다.
오세훈 시장은 "40대에게는 직업역량과 성장 기회를, 50대에게는 경력 전환과 재취업, 60대에게는 사회공헌형 일자리를 마련할 것"이라며 "고용 유지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넓히고 직무·성과 중심의 유연한 제도를 도입해 중장년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길을 열겠다"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