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발생 닷새째인 30일 장애가 발생한 정부 시스템 복구율이 10%대에 머무르고 있다. 다만 국민 파급력이 큰 1등급 시스템은 절반 이상 정상화됐다.
30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국정자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된 총 647개 정부 시스템 중 87개(13.4%)가 복구됐다.
1등급 시스템은 36개 중 21개(58.3%)가, 2등급 시스템은 91개 중 14개(15.4%)가 복구됐다. 중요 시스템으로 분류된 1·2등급 시스템에선 국민의 일상과 직결되는 서비스가 포함돼 있다.
주민등록, 인감, 여권 발급 등 민원 업무를 처리하는 ‘정부24’와 무인민원발급기, 추석 명절 수요가 몰리는 ‘인터넷우체국’ ‘우편물류’ 시스템, 복지로 사회보장정보 포털 등이 복구 목록에 포함됐다. ‘국정관리시스템’ ‘디지털 예산회계시스템’ 등 공무원 업무용 시스템도 하나둘 재개되고 있다.
정부는 화재 영향이 적은 국정자원 대전 본원 2~4층에 위치한 시스템은 재가동을 이어가고 7-1 전산실을 제외한 5층 시스템은 분진 제거 후 재가동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이번 화재로 멈췄던 647개 시스템의 구체적인 목록도 공개됐다. 아울러 정부는 민원인들이 방문·우편 등 오프라인이나 대체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대체수단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방침이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안부 차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각종 민원 처리는 정부24, 무인민원발급기가 정상화되면서 다소 불편하지만 큰 혼란은 없는 상황”이라며 “다만 부동산거래나 사회보장정보시스템 일부기능 장애로 온라인 서비스가 중단되어 국민들은 주민센터를 방문해 수기로 처리하는 등불편은 존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행안부는 지자체 전담지원반을 구성해 소통채널을 확보하고 시스템 복구와 대체수단 안내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