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리스크 해소" 셀트리온, 美 바이오 생산업체 인수

  • 릴리 뉴저지공장 4600억원에 사들여

  • 증설시 송도 2공장 1.5배 캐파 확장

  • 서정진 "관세문제 해소 위한 결정"

서정진 셀트리온그룹회장이 23일 온라인 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서정진 셀트리온그룹회장이 23일 온라인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이 미국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인수했다. 현지에서 제품 생산부터 판매까지 원스톱 공급망을 갖추게 되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리스크를 벗어날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미국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가 보유한 현지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을 330만 달러(약 4600억원)에 인수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셀트리온은 6개월 간의 협의를 거쳐 지난 20일(현지시간) 미국 현지에서 릴리와 인수 본계약을 맺었다. 인수 주체는 셀트리온 미국법인이다. 계약에 따른 공장 인수 절차는 연말까지 종료하는 것을 목표로 양사가 협력할 방침이다.

인수 공장은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있는 '임클론시스템즈'다. 약 14만8800m²(4만5000평) 부지에 생산시설·물류창고·기술지원동·운영동 등 총 4개 건물을 갖췄다. 생산능력(캐파) 증설을 위한 3만6400m²(1만1000평) 상당 유휴 부지도 있어 시장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해당 공장은 이미 가동 중인 바이오 원료의약품(DS) 현행 우수의약품제조·품질관리기준(cGMP) 생산시설이어서 인수 즉시 가동할 수 있다. 5년이 넘는 기간과 조 단위 투자금이 드는 신규 공장 건설보다 시간·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것이다. 현지 인력 고용 승계도 계약에 포함해 인력 공백 없이 생산성을 이어갈 길을 마련했다. 셀트리온은 릴리 측과 공장 인수와 함께 CMO 계약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해당 공장에서 생산해 온 원료의약품을 릴리로 꾸준히 공급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공장 인수 마무리와 증설에 최소 1조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유상증자를 통해 공장 인수 대금을 포함한 초기 운영비 등으로 7000억원을, 유휴 부지 내 생산시설 증설에 최소 7000억원을 각각 투입한다. 증설이 마무리되면 인천 송도에 있는 셀트리온의 제2공장보다 1.5배 많은 생산 캐파 확보가 가능할 전망이다. 

셀트리온은 이번 인수로 지난 5월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이 간담회를 통해 제시한 관세 대응 종합 플랜이 완성됐다고 설명했다. 관세 대응을 위해 선제 조치한 2년치 재고의 미국 이전, 현지 의약품위탁생산(CMO) 업체 계약 확대 등 중단기 전략에 이어 현지 생산시설 확보라는 근본적 해결책까지 모두 마련됐다는 것이다. 

생산 거점 확보로 셀트리온은 제품 생산부터 판매까지 미국 내 원스톱 공급망을 갖추게 됐다. 미국향 물류비를 비롯해 외주 CMO 대비 생산비를 절감해 미국 제품 경쟁력도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이날 온라인 간담회에서 "미국 행정부의 관세 이슈를 해소하려면 현지 생산시설 마련이 필수적"이라며 인수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관세 불확실성을 완전히 제거했다"며 "관세를 상수로 둔 선제적 투자는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가져와 신규 부가가치와 매출을 일으킬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