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단비 넘어 간병·실종보호까지…진화하는 치매보험

  • 2050년, 치매 환자 300만명 예상…삼성·하나·흥국 등 잇단 출시

  • 보장범위 천차만별…금융당국 "불완전 판매 경계해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오는 21일 ‘치매극복의 날’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치매보험 시장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고령화로 치매 환자가 급증하는 가운데, 돌봄 공백을 메우려는 사회적 수요와 보험사들의 경쟁이 맞물리면서 단순 진단비 지급 중심에서 종합 돌봄 서비스형으로 확대되는 모습이다.

19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치매 추정 환자는 지난해 105만명이다. 2050년에는 300만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가 '국가 치매책임제'를 통해 지원을 확대하고 있지만, 요양시설 입소 대기자는 꾸준히 늘며 가정 내 24시간 돌봄 부담 역시 상당하다. 이에 따라 민간 보험을 통한 사적 보장 수요가 꾸준히 커지고 있다.

치매보험도 이에 맞춰 진단에서 간병·인지재활·실종보호까지 보장 범위를 넓히며 돌봄 과정 전반을 지원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삼성화재는 중증치료비와 치매 진단을 함께 보장하는 패키지형 상품을 선보였고, 하나손해보험은 경도인지장애(MCI) 단계에서 전문 강사가 가정을 방문해 인지훈련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배타적 사용권을 확보했다. AXA손해보험은 치매 발병 이후 간병인 지원을 강화했으며, 흥국화재는 이달 초 '치매환자 실종신고 피해보장 특약'으로 배타적 사용권을 획득해 실종 시 보호자에게 최초 1회 20만원을 지급하는 담보를 도입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신중한 가입을 강조한다. 상품별 보장 범위와 조건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일부 상품에 따라 MCI 단계를 보장하지 않거나, 간병 지원금이 월 30만~50만원 수준에 그치는 경우도 있다. 실제 간병비가 월 200만~300만원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보장이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금융당국도 고령층 대상 불완전판매를 경계하고 있다. 복잡한 보장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가입했다가 분쟁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늘고 있어서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치매보험은 보장금액보다 실제 돌봄 서비스가 얼마나 포함돼 있는지가 핵심"이라며 "소비자들은 가족 상황과 생활 여건에 맞춰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