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민들이 은행 창구에서 업무를 보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청년층 종잣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청년미래적금’을 내년 6월 선보인다. 가입자가 3년간 매달 최대 50만원을 납입하면 정부가 납입금의 6% 또는 12%를 기여금으로 지급하는 구조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이자도 별도로 받을 수 있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등과 청년미래적금 태스크 포스(TF) 첫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상품의 설계 기본방향을 공유·논의하고 상품 도입을 위해 검토·협조해야 하는 사항 등을 살폈다.
정부는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강화하고 가능한 많은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미래적금을 공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더해 기존 청년도약계좌보다 만기를 줄여 납입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청년미래적금 상품구조는 국회 예산안 심사와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결정될 예정이다.
금융위가 제시한 안에 따르면 총급여가 6000만원 이하이거나 연매출 3억원 이하의 소상공인 중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인 19~34세 청년이 청년미래적금에 가입할 수 있다. 청년미래적금 가입자는 3년간 매달 최대 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정부는 납입액의 6%를 기여금으로 지급할 계획이다. 중소기업에 새로 취업한 뒤 6개월 이내에 청년미래적금에 가입하고 3년 근속 요건을 만족한 청년에게는 기여금을 12%로 확대한다. 이와 같은 상품구조에서 가입자는 최대 2016만원(지원율 6%에서는 1908만원)에 이자를 더한 금액을 종잣돈으로 마련할 수 있다. 이자율은 추후 결정된다.
금융위는 청년미래적금에서 발생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는 방안을 관계부처·국회 등과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게 상품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갈아타기와 같은 연계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연말까지 청년미래적금 재원 규모나 세제 혜택 범위 등을 확정할 계획”이라며 “이후 상품 세부구조 설계, 전산 시스템 구축, 참여 은행 모집 등을 거쳐 내년 6월 출시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금융위원회는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등과 청년미래적금 태스크 포스(TF) 첫 회의를 개최했다. 회의 참석자들은 상품의 설계 기본방향을 공유·논의하고 상품 도입을 위해 검토·협조해야 하는 사항 등을 살폈다.
정부는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강화하고 가능한 많은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미래적금을 공급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더해 기존 청년도약계좌보다 만기를 줄여 납입 부담을 완화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청년미래적금 상품구조는 국회 예산안 심사와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결정될 예정이다.
금융위가 제시한 안에 따르면 총급여가 6000만원 이하이거나 연매출 3억원 이하의 소상공인 중 가구 중위소득 200% 이하인 19~34세 청년이 청년미래적금에 가입할 수 있다. 청년미래적금 가입자는 3년간 매달 최대 50만원까지 납입할 수 있다.
금융위는 청년미래적금에서 발생한 이자소득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는 방안을 관계부처·국회 등과 협의해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게 상품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도록 갈아타기와 같은 연계방안도 마련할 방침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연말까지 청년미래적금 재원 규모나 세제 혜택 범위 등을 확정할 계획”이라며 “이후 상품 세부구조 설계, 전산 시스템 구축, 참여 은행 모집 등을 거쳐 내년 6월 출시하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