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7 시리즈 흥행 여부에 韓 부품사 희비 엇갈린다

  •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삼성전기 실적 영향권

역대 가장 얇은 애플 스마트폰 아이폰 에어 사진연합뉴스
역대 가장 얇은 애플 스마트폰 '아이폰 에어' [사진=연합뉴스]

애플이 출시한 신작 아이폰17 시리즈의 성공 여부에 한국 부품사들의 두 눈이 집중되고 있다.

아이폰에 들어가는 디스플레이, 카메라 모듈 등을 공급하는 한국 기업들은 신제품이 많이 팔릴 수록 동반 성장 수혜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애플은 최근 아이폰17 시리즈와 아이폰 에어, 애플워치11 등 신제품을 글로벌 출시했다.

플래그십 스마트폰인 아이폰17 시리즈는 4800만 화소의 후면 렌즈를 탑재해 카메라 성능을 크게 끌어올렸다. 특히 아이폰17 에어는 두께 5.6㎜, 무게 165g으로 기존 아이폰 플러스 모델을 대체했으며 초박형 프리미엄 폰이라는 이미지로 판매 확대가 예상된다.

시장에서는 아이폰17 시리즈가 최소한 전작인 아이폰16 시리즈와 비슷한 수준으로 판매될 것으로 본다.

미국 투자은행·증권사 제프리스는 아이폰17 시리즈의 생산 계획치를 올해 하반기 기준 7850만대로 예상했다. 모건스탠리는 올해 하반기 아이폰17 시리즈 생산 전망치를 8000만~8500만대로 전망했다.

아이폰17 출시는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LG이노텍, 삼성전기 등 국내 부품사들의 하반기 실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삼성디스플레이의 아이폰17 시리즈향 패널 출하량은 7800만대, 전체 패널 출하량은 1억2500만대로 관측된다. 지난해 아이폰16 시리즈용으로 6380만대를 출하한 것과 비교해 약 22.2% 증가한 규모다.

애플 매출이 전체의 40%나 차지하는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아이폰17 시리즈에 4560만대의 패널을 공급하며 2위 공급사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이폰17 시리즈에 힘입어 연간 흑자 전환 가능성도 점쳐진다.

삼성전기는 적층세라믹콘덴서(MLCC)를 납품한다. MLCC는 전자제품의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부품이다.

LG이노텍은 아이폰17 시리즈에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고 있다. 애플 매출이 무려 80%에 달하는 만큼 아이폰17 시리즈 성패가 실적으로 직결된다.

다만 중국 부품사들의 애플 진출이 가속도를 내면서 한국 부품 업체들의 수익성은 이전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MLCC도 시장 1위인 일본 무라타가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이폰 판매 확대는 소형 패널과 카메라 모듈 등을 납품하는 한국 업체들에게 호재로 작용한다"며 "중국 업체들이 따라오지 못하도록 기술 격차를 확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