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이 보유한 기동헬기 '블랙호크'(UH/HH-60)에 디지털 조종실을 구축하고 생존성을 높이는 성능개량사업이 본격화된다. 총 50개 이상의 구성품을 국산화할 계획이다.
10일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전날 부산 대한항공 테크센터에서 UH/HH-60 헬기 성능개량사업 체계개발 착수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방사청과 연구개발 주관기관인 대한항공, 육군, 공군,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참석해 전반적인 사업계획을 공유하고, 분야별 체계개발 추진계획과 협조 방안을 논의했다.
블랙호크는 육군(UH-60)과 공군(HH-60)이 운용 중인 특수작전용 헬기로, 1990년대부터 국내에 도입돼 병력 수송이나 특수작전, 의료후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성능개량사업은 총 9943억원을 투입해 기존 헬기의 아날로그 조종실을 전자지도, 다기능시현기 등을 갖춘 '디지털 조종실'로 개량하고, 신형 생존 및 항법·통신장비 등을 탑재하는 사업이다.
총 30여대가 사업 대상으로, 2029년부터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성능개량이 완료되면 디지털 조종실과 함께 자동 제자리비행 장치, 장애물 경보장치 등이 설치돼 조종사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생존장비가 장착돼 특수작전에서의 생존성이 강화된다.
특히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총 50개 이상의 구성품을 국산화할 수 있어 항공 분야 기술력 제고와 안정적 군수 지원체계 구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또한, UH-60 계열 헬기는 현재 전 세계 30개국 이상에서 운용 중으로,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경험과 기술력을 축적함으로써 향후 해외사업 참여와 방산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형석 방사청 헬기사업부장은 “UH/HH-60 성능개량 사업을 통해 우리 군의 공중침투와 탐색구조 능력이 대폭 향상되어 변화하는 전장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산화율 향상 등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서도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하고 성공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10일 방위사업청에 따르면 전날 부산 대한항공 테크센터에서 UH/HH-60 헬기 성능개량사업 체계개발 착수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방사청과 연구개발 주관기관인 대한항공, 육군, 공군,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참석해 전반적인 사업계획을 공유하고, 분야별 체계개발 추진계획과 협조 방안을 논의했다.
블랙호크는 육군(UH-60)과 공군(HH-60)이 운용 중인 특수작전용 헬기로, 1990년대부터 국내에 도입돼 병력 수송이나 특수작전, 의료후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총 30여대가 사업 대상으로, 2029년부터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성능개량이 완료되면 디지털 조종실과 함께 자동 제자리비행 장치, 장애물 경보장치 등이 설치돼 조종사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생존장비가 장착돼 특수작전에서의 생존성이 강화된다.
특히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총 50개 이상의 구성품을 국산화할 수 있어 항공 분야 기술력 제고와 안정적 군수 지원체계 구축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방사청은 설명했다.
또한, UH-60 계열 헬기는 현재 전 세계 30개국 이상에서 운용 중으로, 이번 사업을 통해 국내 기업들이 경험과 기술력을 축적함으로써 향후 해외사업 참여와 방산수출 확대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형석 방사청 헬기사업부장은 “UH/HH-60 성능개량 사업을 통해 우리 군의 공중침투와 탐색구조 능력이 대폭 향상되어 변화하는 전장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산화율 향상 등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서도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하고 성공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