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상하이종합지수가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는 중국 증시가 이례적인 급등세를 보인 가운데, 중국 당국이 예상치 못한 시장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증시 냉각 조치'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중국 당국이 최근 과열 조짐을 보이는 증시를 냉각시키기 위해 여러 조치를 고려하고 있다고 소식통을 인용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중국 금융 규제 당국은 최근 고위 정책 결정자들에게 공매도 제한 해제 등 여러 가지 시장 안정 대책을 제안했다. 당국은 또 증시의 급격한 반전으로 개인 투자자들이 콘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투기성 거래를 억제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고 익명의 소식통은 전했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날 2시 35분 기준(한국시간) 상하이종합지수는 1.6% 이상 하락 중이다. 대형주 벤치마크 지수 CSI300과 선전성분지수도 각각 2% 넘게 밀렸다.
다만 소식통은 이 같은 조치들이 실제 승인되거나 시행될지는 불투명하다고 전했다. 중국 당국은 증시 냉각 조치를 통해 2015년 대규모 증시 급등락 사태가 재현되는 것을 막고, 경기와 소비 심리를 되살리기 위해 완만한 증시 상승세를 유도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증시는 지난 4월 이후 가파른 회복세를 보이며 주요 지수들이 20% 이상 급등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지난달 18일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블룸버그는 이에 대해 “2015년과 비슷한 증시 버블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고 짚었다.
미·중 관세전쟁 격화 등에도 중국 증시가 유동성 장세를 이어가면서 신용거래융자 잔고와 거래량 등의 지표들도 과열을 경고하고 있다. 이에 중국 상업은행들은 지난달 말 신용카드 현금서비스로 주식 투자를 금지하고, 증권사들은 신용거래 증거금 비율을 80%에서 100%로 인상하는 등의 조치를 내놓은 바 있다.
우칭 중국 증권감독관리위원회(CSRC) 주석(위원장)은 지난달 말 베이징에서 열린 좌담회에서 주식 시장 안정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하며 "긍정적 모멘텀을 공고히 하고, 장기적·가치 중심·합리적 투자"를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