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락 "한미 정상회담 공동합의문 없지만 많은 공감대...국민께 효과적 설명"

  • "페이스메이커, 李대통령 아이디어"

사진연합뉴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왼쪽부터), 위성락 국가안보실장, 김용범 정책실장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한국프레스센터가 마련된 호텔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한미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은 28일 한미 정상회담 이후 양국의 공동합의문이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문건을 만들어내진 못했지만 많은 공감대가 있었다"고 말했다.

위 실장은 이날 오후 JTBC 뉴스룸과의 인터뷰에서 "모든 정상회담에서 공동선언문이 나오는 건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한일 정상회담도 공동 언론발표문이 나온 게 17년만의 일이라고 하지 않나"라며 "정상 간 논의 내용은 상당 부분이 공개돼 생중계됐고, 나머지 부분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양국 국민들에게 효과적으로 설명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물론 공동발표문도 한때는 협의했다"며 "어떤 분야는 더 많은 의견 접근이 있었고 어느 분야는 덜했는데, 진전이 적은 영역에서 쟁점을 얼마나 상세히 적을지 등 여러 논의가 있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결국 다 문건을 만들어내기까지 이르지는 못했지만 많은 공감대가 있었다"며 "그런 공감대를 바탕으로 추가 협의를 하면 마무리될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의 행보가 '이번 회담을 계기로 안미경중에서 벗어나 외교 정책 대전환이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온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우리 외교정책 중심이 한미관계에 있다는 점은 누구나 인정하는 부분"라며 "이 대통령이 밝힌 일정은 한미동맹을 굳건히 하면서 이웃인 중국과의 관계를 조화롭게 운영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중 관계를 안정적으로 발전해 나갈 필요가 있다는 메시지를 동시에 발신한 것"이라며 "그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한 위 실장은 정상회담 직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의 특검 수사와 관련해 '돌발 메시지'를 낸 것에 관해 "(메시지를 낸 배경을) 잘 헤아리긴 어렵다"면서도 "그 사안 자체가 그렇게 문제시 하기에는 근거를 갖기 어려운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가짜뉴스라고 말했기 때문에 그 사안은 뒤로 넘어간 게 아닌가 싶다"고 설명했다.

회담 중 이 대통령이 한반도 안보와 관련해 언급한 '피스메이커·페이스메이커' 표현에 대해서는 "사전에 여러 곳에서 의견을 내고 종합한 것인데, 결국 대통령께서 그 말씀을 하셨기 때문에 대통령님 아이디어라고 봐도 될 것 같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를 실제로 풀 수 있는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뿐이라며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