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아주경제 취재에 따르면 포스코그룹은 안전 관리 자회사 신설과 관련해 조직 구성과 전문 인력 확보 등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
자회사 수장으로는 김학동 전 포스코 대표 등이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이달 출범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 직속 '그룹안전특별진단TF(태스크포스)팀' 구성원들이 자회사로 대거 합류할 전망이다. 앞서 포스코그룹은 지난 1일 그룹 전반의 안전 관리 체계를 진단하기 위해 그룹안전특별진단TF팀을 출범한 바 있다. 해당 TF팀 팀장은 송치영 포스코이앤씨 신임 사장이 맡고 있다.
이번 자회사 설립은 정부 압박에 대한 대응책인 동시에 경영 효율화를 위한 일환으로 풀이된다. 포스코는 그간 반복되는 중대 재해로 인해 실질적인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놔야 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안전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자회사 설립을 결정한 배경이다. 수세적 대응보다 전향적 변화를 선택한 것이다.
포스코는 안전 리스크 외에도 중국발(發) 공급과잉과 미국의 고율 관세 여파 등 삼중고에 빠진 상태다. 중국의 저가 밀어내기 후폭풍에 지난해 영업이익이 40%가량 급감했고 올 들어서는 트럼프 관세에 따른 업황 악화까지 더해졌다.
대정부 관계 설정도 부담이다. 잇단 인명 사고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이 질책한 뒤 최근 한·미 정상회담 경제사절단 명단에서 재계 6위 포스코가 제외되는 등 '패싱' 논란이 불거졌기 때문이다. 철강·이차전지 산업에서 전략적 위치를 점하고 있는 포스코가 핵심 외교 무대에서 배제된 걸 의아하게 보는 시선이 많다.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뼈를 깎는 쇄신을 예고했다. 장 회장은 지난 22일 직접 주재한 '그룹 안전 특별점검회의'에서 "모든 작업자들이 안전하게 일하고 귀가할 수 있도록 현장 목소리를 경청해 직원이 재해 예방의 주체이자 서로의 보호자가 되는 안전 관리 체제로 혁신하는 데 힘써 달라"며 "'안전 전문 회사' '산재가족돌봄재단' 설립 등 현재 검토 중인 혁신 계획을 차질 없이 수행해 달라"고 당부하기도 했다.
이번 안전 관리 자회사 신설과 관련해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안전 전문 회사 설립에 대해 검토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어떤 방식으로 언제 출범할지는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