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구 실질소득 '제자리'…실질소비지출 2개 분기 연속 떨어졌다

  • 통계청 2025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 생선가게에 폐업 안내가 적힌 스티로폼이 놓인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 생선가게에 폐업 안내가 적힌 스티로폼이 놓인 모습. [사진=연합뉴스]
가구의 월평균 소득 1년 전에 비해 늘어났지만 물가상승률을 반영한 실질소득은 제자리 걸음에 그쳤다.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자영업자 감소 등이 겹쳤기 때문이다. 소비 역시 18분기 연속 증가세를 나타냈지만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실질소비지출은 2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나타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06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2.1% 늘어났다. 2023년 3분기 이후 9개월 연속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모든 부분의 소득이 증가했다. 근로소득은 319만4000원으로, 사업소득은 94만1000원으로 1년 전보다 각각 1.5%, 0.2% 증가했다. 재산소득(7.6%), 이전소득(5.1%), 비경상소득(14.1%)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

다만 명목소득에 물가를 반영한 가계실질소득은 보합(0.0%)에 그쳤다. 실질 근로소득이 -0.5%, 사업소득이 -1.9% 각각 줄어든 영향이 크다. 길어지고 있는 내수 부진의 여파가 크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도 "2023년 3분기(-3.8%) 이후 사업소득이 가장 크게 감소했다"며 "자영업자 감소 등이 복합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구당 월평균 지출은 387만6000원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했다. 이 가운데 소비지출은 283만6000원, 비소비지출은 104만 원으로 각각 0.8%, 4.3% 각각 늘었다. 2020년부터 18개 분기 연속 증가세다.

하지만 실질 소비지출은 1.2% 감소했다. 1분기(-0.7%)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감소세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4분기(-2.8%) 이후 가장 큰 감소세다.

이 과장은 "자동차나 가전제품 등 지출금액이 큰 내구재의 지출이 줄어든 영향이 크게 나타나 명목 소비지출이 둔화했고 실질 소비지출은 감소했다"며 "2분기 국내외 사회·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서 소비 심리 위축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2025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사진통계청
2025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사진=통계청]
실제로 소비지출은 기타상품·서비스(13.0%), 음식·숙박(3.3%), 보건(4.3%) 등에서 증가한 반면 교통·운송(-5.7%), 가정용품·가사서비스(-9.9%), 의류·신발에서 감소했다. 

비소비지출은 평균 104만 원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비경상조세가 25.9% 늘어난 가운데 경상조세(6.9%), 비영리단체로의 이전(5.3%), 사회보험(2.9%), 이자 비용(1.9%) 등이 늘었기 때문이다.

가구당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2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1.5%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구의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금액으로 소비 지출과 저축 등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을 제외한 흑자액은 118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3% 증가했다. 흑자율은 29.5%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처분가능소득에서 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하는 평균소비성향은 70.5%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4개 분기 연속 하락세다.

소득 분위별로는 1분위(하위 20%)는 근로소득이 감소한 반면 5분위(상위 20%)는 재산소득이 늘었다. 2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9만4000원으로 1년 전보다 3.1% 증가했다. 공적이전소득과 사업소득이 각각 10.2% 늘었지만 근로소득이 7.3% 줄었다. 

5분위의 월평균 소득은1074만3000원이다. 1년 전보다 0.9% 늘어난 것이다. 재산소득이 13.9% 급증한 가운데 사업소득도 4.0% 증가했다. 다만 근로소득은 1.1% 감소했는데 가구원 중 취업자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

소득 불평등 정도를 보여주는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45배로 전년 동기 대비 0.09배포인트 확대됐다. 통상 배율이 커질수록 분배가 나빠진 것으로 해석한다.

다만 기획재정부는 "공식적인 소득분배 여부는 연간지표인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며 "경기진작과 민생안정을 위한 2차 추가경정예산 사업을 신속하게 집행하고 새정부 경제성장전략 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사회안전망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