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길 막히고 수익 하락하고…K-원전 해외진출 성적은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19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올해 초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지식재산권 분쟁 종료 합의문과 관련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황주호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이 지난 19일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올해 초 미국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지식재산권 분쟁 종료 합의문과 관련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팀 코리아'의 첫 수출 원전이었던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의 누적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상업운전 이후 첫 적자 기록이다.

여기에 주요국에 대한 원전 수출길이 막히며 한국형 원전의 해외 진출은 진퇴양난을 겪고 있다.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굴욕 계약'으로 유럽·미국 등 원전 선진국에 대한 수출도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공사기간 지연에 바라카 원전 상반기 349억 적자

20일 한국전력이 공시한 올 상반기 재무제표 자료에 따르면 'UAE 원전 사업 등' 항목의 누적 손익은 349억원 적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바라카 원전 사업이 적자로 돌아선 것은 처음이며 누적 수익률 역시 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2023년 4350억원에 달했던 흑자는 지난해 722억원으로 쪼그라든 뒤 올해 마이너스를 그린 것이다. 

대규모 적자 발생 원인으로는 공사 기간 지연이 꼽힌다. 당초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공사가 2024년까지 늦어지며 추가 비용이 1조4000억원 발생했기 때문이다. 

적자는 좀처럼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설상가상으로 한수원과 한전은 1조4000억원의 비용을 두고 분쟁을 이어가고 있다. 한수원은 한전이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을, 한전은 UAE에서 금액을 받아내는 것이 우선이라는 주장을 견지하고 있다. 

다만 UAE 사업 등은 향후 60년간 배당수익 등 운영으로 통한 이익을 창출하는 사업인 관계로 단기적인 적자에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전력업계 관계자는 "UAE 원전사업은 준공 뿐 아니라 운영까지 한국에서 맡아 진행하는 만큼 앞으로 이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일시적 적자로 사업 성과를 평가하기 보다는 추후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유럽 뺏기고 눈 돌렸지만…신시장 개척도 난항

한수원은 스웨덴, 슬로베니아, 네덜란드, 폴란드 등 유럽 국가의 원전 수주 사업에서 철수했다. 이는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계약으로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수주가 불가능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체코 원전 수주에 성공하며 '유럽 시장 수주를 위한 교두보'를 얻었다고 자평했던 모습과는 대조적이다. 

북미와 유럽 등 주요국에 대한 원전 수출이 막힌 상황에서 팀 코리아는 중동, 중앙아시아, 남미, 아프리카 등 제3의 선택지로 눈을 돌려야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신시장 개척은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러시아와 중국이 글로벌 원전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것 역시 한국 원전 수출에 악재로 작용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17년 이후 착공된 원전 62기 중 48기가 중국 또는 러시아 노형으로 설계됐다. 

특히 원전 건설을 앞두고 있는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은 러시아,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어 '팀 코리아'가 수주전에서 성과를 거두기 어렵다는 전망도 나온다. 아프리카 역시 러시아와 중국이 공을 들이고 있는 신시장 중 하나다.

이에 신시장 맞춤형 수출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전문가 제언도 나온다. 정범진 경희대 원자력학과 교수는 "웨스팅하우스에 지급해야 하는 비용이 전체 원전 가격의 5% 수준이다. 경쟁력을 저하하지 않는 규모로 (이 금액을) 지불하고라도 수출을 하는 게 좋다"며 "한국은 원전을 다량으로 수출하는 국가가 아니기 때문에 현재 수출이 가능한 국가 위주로 수출 전략을 짜되 한국 고유 노형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웨스팅하우스와 맺은 계약이 불합리하지 않다는 분석도 잇따른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UAE 이후 이 정도로 큰 규모의 원전을 수주한 것은 체코가 처음이다. 강대국인 미국과 손잡은 것으로 손해를 볼  것은 없다"며 "전체 수출 규모상 미국에 떼어주는 게 그렇게 많은 퍼센트는 아니다. 기자재는 어차피 구매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로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