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식'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정부는 업계의 사업재편 의지를 확인하고 산업 구조개편 방향을 밝혔다.
정부는 협약식에 앞서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석유화학 업계의 '구조개편 3대 방향'과 '정부지원 3대 원칙'을 확정한 바 있다.
구조개편 3대 방향은 △과잉 설비 감축 및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이다. 정부지원 3대 원칙은 △3개 석유화학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구조개편 동시 추진 △충분한 자구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계획 마련 △정부의 종합지원 패키지 마련 등이다.
이를 토대로 석유화학 기업들은 설비 감축·고부가 전환을 통한 경쟁력 강화, 재무구조 개선 등을 담은 사업재편계획을 연말까지 마련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전환기를 맞아 산업계가 자율적으로 선제적 사업재편 의지를 밝힌 것으로 평가했다. 또 그간의 버티기 전략에서 벗어나 구조개편에 본격적인 시동을 건 것에 의미를 부여했다.
정부도 업계에서 제출하는 사업재편계획에 대한 타당성과 기업들의 자구노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뒤 지원 패키지를 마련할 방침이다. 지원 패키지에는 금융, 세제, 연구개발(R&D), 규제완화 등이 담길 예정이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사업재편이 이행될 수 있도록 민관이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앞서 산업부는 지역경제와 고용 충격 완화를 위해 지난 5월 여수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한 데 이어 서산시도 추가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 고용위기선제대응지역 제도를 신설한 고용노동부도 전날 여수시를 지정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여수시는 고용유지지원금, 생활안정자금 융자 등에 대한 요건·수준을 달리해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된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이날 협약식에서 "석유화학 산업이 미래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과감하고 신속한 구조개편만이 유일한 돌파구"라며 "지금이 아니면 안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우리 기업들도 사업재편에 적극 나서 달라"고 당부했다.
또 '선 자구노력·후 정부지원' 원칙을 강조하며 "산업계가 한마음으로 진정성 있게 노력한다면 정부도 그에 상응할 것"이라며 "책임 있는 자구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 설비 감축의 혜택만 누리려는 무임승차 기업에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