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K콘텐츠로 시장 300조·수출 50조 목표에…업계 기대감↑

  • 123대 국정과제에 콘텐츠 국가전략산업화 추진 담겨

  • 업계 "정부 의지 닿아…산업 불확실성 해소될 것"

사진연합뉴스
국정기획위원회 홍창남 사회2분과장이 지난 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국정기획위원회 국민보고대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글로벌 문화강국' 실현을 위해 K콘텐츠를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관련 시장 규모를 오는 2030년까지 300조원으로 확대하고 연관 산업 수출 50조원을 달성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17일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에 담긴 K-콘텐츠 국가전략산업화 추진 방안에 업계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추진 방안과 함께 공개된 국정과제에는 △K컬처 시대를 위한 콘텐츠 국가전략산업화 추진 △전 국민이 누리고 세계인과 소통하는 K컬처 △자유로운 예술 창작 환경 조성 등도 포함됐다. 

정부는 10조원 규모 정책금융과, 세제지원, 공연형 아레나 건설 등 산업 성장 기반을 확충할 계획이다. 영상, 음악, 게임 등 K-콘텐츠 핵심 장르를 전략적으로 지원하고 콘텐츠와 연계한 푸드·뷰티·관광 등 연관 산업의 동반 수출을 확대할 방침이다. 

문화예술 창작·향유 기반도 강화한다. 창작 공간 제공, 예술인 복지 확대 등으로 창작 환경 조성은 물론 '꿈의 예술단' 운영 등으로 아동, 청소년 문화예술 역량을 키운다. 통합문화이용권과 전 연령 맞춤형 스포츠 활동 지원으로 국민 문화예술 관람률을 오는 2030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는 향후 5년간 총 51조3797억원을 투입해 K콘텐츠 해외 진출과 한류 확산 거점 구축을 지원할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K-콘텐츠 위상이 높아지는 상황에서도 글로벌 OTT 자본력에 밀려 현재 콘텐츠 업계가 위기인 상황"이라며 "정부의 국가 전략 산업화 추진이 현장에서 꼭 필요한 분야와 플랫폼에 닿는다면 제작 환경이 안정되고 창작 역량도 강화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 소장은 "정부의 이번 국정 계획의 가장 큰 의의 중 하나는 K-콘텐츠 산업 활성화에 대한 의지를 시장에 공식적으로 알렸다는 점"이라며 "그 자체로 산업계 전반에 긍정적인 신호 효과를 준다"고 평가했다.

정부가 K-콘텐츠 산업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구체적인 목표와 재정 투입 계획까지 제시하면서 산업이 안고 있던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설명이다.

이어 "우리가 미국 콘텐츠를 즐기며 미국 문화에 친숙해졌듯, K-콘텐츠 활성화와 연계 정책은 개별 기업 차원에서 어려웠던 대규모 협업을 가능하게 해 수출 효과를 더욱 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