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 정책을 평가 절하하는 담화를 낸 데 대해 "북한의 반응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화해와 협력의 남북 관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28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을 받자 "한반도 평화 공존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차분히 일관되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이날 오전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여정 부부장은 '조한(남북) 관계는 동족이라는 개념의 시간대를 완전히 벗어났다'라는 제목의 담화에서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 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이재명 정부를 향해선 "조선 반도에 국가 대 국가 간 관계가 영구 고착된 현실과 더불어 해체돼야 할 통일부의 정상화를 시대적 과제로 내세운 것을 보아도 확실히 흡수통일이라는 망령에 정신적으로 포로된 한국 정객의 본색은 절대로 달라질 수 없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또 "이재명의 집권 50여일만 조명해 보더라도 앞에서는 조선반도 긴장 완화요, 조·한 관계 개선이요 하는 귀맛 좋은 장설을 늘어놓았지만, 한·미 동맹에 대한 맹신과 우리와의 대결 기도는 선임자와 조금도 다를 바 없다"고 단언했다.
김 부부장은 특히 오는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거론되는 김정은 위원장 초청 가능성을 "헛된 망상"이라고 일축하기도 했다.
이번 김 부부장 담화는 북한이 이재명 정부에 대해 내놓은 첫 공식 입장이다. 그간 북한은 12·3 비상계엄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 대통령 당선 결과를 보도했지만, 공식 논평을 발표한 적은 없었다. 다만 이번 담화는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엔 게재되지 않았다.
구 대변인은 "이번 담화는 북한 당국이 이재명 정부의 대북 정책 방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라며 "지난 몇 년간의 적대 대결 정책으로 인해 남북 간 불신의 벽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아울러 북한의 '흡수통일' 표현과 관련해 "통일부는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는다"며 "우리 정부의 공식 대북 통일 방안은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에서 화해와 협력, 그리고 국가연합, 먼 미래의 법적·제도적 통일, 단계적이고 평화적인 통일을 추구하고 있다"고 짚었다.
다만 남북 간 불신 해소 방안에 대해선 "이 자리에서 구체적인 조치 방향에 대해서 말씀드리는 것은 좀 어렵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