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의 회장 "日과 협력해 中 '제조 AI' 경계해야"

  • 대한상의 AI 토크쇼 진행...최태원·정신아 등 총출동

제48회 대한상의 하계포럼_AI토크쇼JPG
7월 18일 진행된 '제48회 대한상의 하계포럼_AI 토크쇼'에서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중국의 인공지능(AI) 학습 속도를 경계하기 위해선 한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최 회장은 18일 경주에서 열린 대한상공회의소 하계포럼 부대행사 '경영토크쇼'에 참석해 "강한 AI를 만들려면 밥을 잘 먹여야 되는데, 제조 AI에 있어 그 밥은 바로 데이터"라며 "대한민국이 제조 데이터가 풍부하긴 하지만, 중국이 훨씬 더 많은 데이터를 갖고 있어 학습 속도에서 앞선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제조업 AI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일본과의 제조 데이터 공유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조업 AI의 가장 큰 위협은 중국이 돼 가고 있고 거기보다 우수해야 우리가 살아남을 수 있다"며 "어찌 보면 상당히 많은 데이터를 갖고 있는 일본과 손을 잡는 게 중요하고, 이를 통해 서로 교류하고 학습시키면 더 좋은 AI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최 회장은 최근 울산에서 열린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도 △정부 주도의 선도적 AI 시장 창출 △혁신 AI 스타트업 육성 위한 투자 확대 △AI 국가 양성 시스템 구축 △제조 AI 특구 지정 △AI 원스톱 바우처 사업 확대 등을 건의하며 한국의 AI 경쟁력 제고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날 토크쇼의 사회를 맡은 정신아 카카오 대표 역시 "AI 시대에 데이터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고, AI 모델이 평범한 사람의 지식 수준을 넘어서고 단순한 요약이 아닌 스스로 추론하는 과정이 열리면서 AI를 활용할 사업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며 "데이터는 단순한 자원이 아니라 산업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전했다. 

이날 행사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를 활용해 사업을 전개 중인 스타트업 대표들의 이야기도 나왔다. 지역에서의 제조 AI 사례 공유에 나선 박만헌 CFA 부사장은 "생산성 제고를 위해 우리 공장의 생산 공정에 로봇을 도입했는데 로봇 배치·운영 최적화가 안 돼 애를 먹었다"고 회고했다.

박 부사장은 "시뮬레이션을 위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매년 2억원, 그리고 운영 인력의 인건비가 연간 1억5000만원이 넘더라"며 "이후 AI 솔루션을 도입하면서 소프트웨어와 전문가 없이도 로봇 배치와 운영을 할 수 있게 돼 매년 수억원의 비용 절감을 하게 됐다"고 전했다.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제조 AI에 대해 "단순한 자동화가 아니라 AI가 공장의 두뇌 역할을 맡아 공정을 분석함으로써 공장 가동을 유연하게 조절하고 생산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경남 사천의 한 공장에 로봇을 최적 배치하고 공정 효율화를 하는 시뮬레이션을 적용하려면 최소 박사급 연구원 2명을 한 달간 투입해야 하는데, AI 기술을 접목하면 30분 만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상의 AI 토크쇼는 지난해에 이어 이번이 2회째다. 대한상의는 AI 시대를 맞이해 앞으로도 매년 하계포럼을 통해 전국의 CEO들과 함께 AI 토크쇼에서 공감대를 넓히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