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윤석열 정권의 외교안보 실세 참모로 알려진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11일 순직해병특검에 출석한 사실이 알려졌다.
김 전 차장은 이날 오후 2시 50분께 서울 서초구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직권남용 권리 행사 방해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했다.
김 전 차장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가 없었다는 주장이 그대로인가', '이첩 보류 지시는 누가 내렸나', '지시에 관여했나' 등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지 않고 특검 사무실로 들어갔다.
특검 사무실 앞에 미리 대기하고 있던 해병대 예비역들은 김 전 차장이 도착해 특검 사무실에 입장할 때까지 김 전 차장을 향해 '내란범'이라 연호했다.
김 전 차장은 이른바 'VIP 격노설'이 나온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윤석열 정부에서 외교안보 정책을 주도한 실세 참모로 전해졌다.
특검팀은 김 전 차장이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으로부터 채해병 사망 사건 초동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윤 전 대통령이 격노하는 것을 목격하고 수사 외압에 관여한 핵심 피의자로 보고 있다.
당시 윤 전 대통령이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심하게 화를 냈고 이후 경찰 이첩을 보류, 해병대 수사단의 조사 결과를 바꾸게 했다는 게 VIP 격노설의 주된 의혹이다.
김 전 차장은 그동안 국회 증언 등에서 당시 회의에서 채해병 관련 보고가 없었고, 윤 전 대통령의 격노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특검은 그날 회의에서 윤 전 대통령이 채해병 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후 결과를 바꾸는 데 직접 개입했는지에 대한 여부와 해당 과정에서 김 전 차장의 역할 등에 대해 집중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김 전 차장에 대한 조사는 이정민 부부장 검사가 진행한다.
아울러 정민영 특검보는 이날 오전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그날 회의에서 채해병 사망사건에 대해 최초 보고됐고, 내용에 대해 윤 전 대통령이 격노했다고 알려졌다"며 "회의에서 보고받고 지시한 내용, 개입이 이뤄진 경위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