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9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 그랜저볼룸에서 '자동차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전 과정 환경영향평가(LCA), 디지털제품여권(DPP, 생산·판매·폐기 등 모든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고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 등 유럽발 자동차 공급망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회장은 "자동차 환경규제는 전통적인 배기구의 배출가스를 규제하던 방식에서 최근에는 LCA, 공급망 실사, 재활용 소재 의무사용 등 공급망 전체를 관리해야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며 "특히 내년 6월부터 유럽연합(EU)은 완성차 업계에 자발적인 이산화탄소 LCA 데이터 제출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미 유럽의 일부 완성차업체(OEM)들은 국내 부품업계에 탄소 정보를 요청하고 있어 대응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신호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장도 '자동차 관련 공급망 규제와 대응 방안'을 주제로 한 첫 번째 발표에서 EU의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 지침(CSRD)과 기업 지속가능성 실사지침(CSDDD) 등에 따라 완성차 공급망 전반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보의 공개와 관리가 의무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임헌정 한국자동차연구원 실장은 '국내 자동차 데이터 플랫폼 구축 현황 및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으로의 활용 방안'이라느 주제로 발표하며 산업통상자원부가 2021년부터 수행 중인 자동차데이터플랫폼 사업을 소개했다.
강 회장은 "데이터 플랫폼 구축과정에서 업계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특히 중소 부품업계 입장에서 업무와 비용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스템이 구축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