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박성대 기자= 곽노현 서울시교육감과 박원순 서울시장이 학급당 학생 수를 25명으로 감축하고 고교 체제 및 대입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약속을 내걸었다.

곽 교육감과 박 시장은 14일 서울시교육청에서 '서울교육희망 공동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선언문에는 곽 교육감과 박 시장을 비롯해 허광태 서울시의회 의장, 고재득 서울시구청장협의회장, 김옥성 서울교육단체협의회 상임대표가 참여했다.

이들은 “OECD 국가 수준의 공교육을 위해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며 “학급당 학생수가 OECD국가 평균인 25명이 되도록 초등학교 1학년과 6학년, 중학교 1학년에 교사를 추가로 배치하겠다”고 말했다.

또 특목고와 자율형사립고 등 서열화를 부추기는 고교체제를 개편하기 위해 ‘고교 체제 개편 추진위원회’를 구성할 방침이다.

창의적 인재를 선발하는 대입 제도를 위해 서울시립대 입학 전형의 혁신을 모델로 대학입시 개선에도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이밖에도 △특성화고 취업률 80% 달성 △초4·중1·고1 전체 학생 진로 설계, 자치구별 ‘직업체험지원센터’ 설치 △자치구청별 '책임교육 네트워크' 추진 △수업과 평가방법 혁신을 위한 교사 연수 지원,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버스 지원 △학교 옥상 등에 '햇빛 발전소' 건설, 마을과 학교 생태공원 조성, 초록학교 만들기 지원 △강남·북 교육 격차 해소, 무상교육·무상급식 확대 등을 제안했다.

이들은 "이른 시일 안에 공동선언에 담긴 정신과 정책 방향들을 실현하기 위해 구체적인 노력을 시작할 것"이라며 "서울시교육청과 서울시가 함께할 과제들은 '서울교육행정협의회'를 통해서, 서울시·서울시교육청·자치구·시민사회가 함께할 과제들은 '서울 교육·복지 민관협의회'를 통해서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에 교육계 보수진영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상황이다. 이날 발표된 공동선언이 후보매수 혐의로 대법원 확정 판결을 앞둔 곽 교육감이 교육감직을 잃더라도 자신의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안전장치'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교총 관계자는 “정책 자체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법원 판결을 앞둔 곽 교육감이 교육에서 중요한 신뢰성과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