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하한담冬夏閑談] 바꿀 혁(革)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함원 전통문화연구회 상임이사
입력 2017-11-17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함원 전통문화연구회 상임이사

동양 문화권에서는 역사적 인물을 그의 사후에 평가·기록하는 전통이 있었다. 행장(行狀)과 졸기(卒記)에서 그의 삶의 행적을 기록했던 것이다. 이는 한 인물의 전체 삶과 공과를 역사 기록자가 평가하는 사평(史評)의 정신이다.

올해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탄생 100년이 되는 해(1917년 11월 14일). 그가 우리 현대사에 남긴 족적은 어느 인물에 비할 바 없이 크고 깊으며 그의 공과에 대한 평가는 여전히 현재 진행중이다. 그의 삶의 궤적은 국망(國亡)과 일제 침략, 해방과 정부 수립 그리고 분단과 전쟁이라는 우리의 비극적 현대사와 같이 했다. 5.16 쿠데타 이후 18년간은 그가 정권을 잡아 나라를 이끌며 '박전'(朴前, 박정희 이전)과는 완전히 다른 현대 한국의 큰 틀을 만들었다. 

조선왕조실록 졸기에 보면 역사적 인물을 한 자의 한자(漢子)로 집약, 평하곤 한다. 박정희는 결단할 결(決)과 바꿀 혁(革)으로 평하면 어떨까. 

박정희는 신산하고 굴곡진 삶의 순간 순간마다 결단(決斷)하고 결기(決氣)에 찬 모습을 보였다. 그가 결단하고 결심(決心)한 결과물에 대해서는 후대에 혹독한 비판을 받아 마땅한 것이 적지 않으나 그의 결기만은 충분히 느낄 수 있다. 수 년 전에도 그의 결(決)을 흉내내려는 대통령 후보가 있을 정도 였다. 

박정희에게 決이 개인적·정서적인 측면이라면 革은 그의 역사적 자리를 설명해준다. 그는 쿠데타라는 폭력적 방법으로 권력을 잡아 18년간 독재와 정보정치라는 수단을 동원, 통치하며 숱한 공과를 남겼지만 이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革, 짐승 가죽을 통채로 벗기듯 이 나라를 완전히 바꿔놓았기 때문이다.

100년 내지 200년 후에는 '朴前'과 '朴後'가 달랐다고 평가할지도 모른다. 구습과 나태, 미신과 체념에 찌들고 일제 잔재와 조선 유교사회의 찌꺼기들이 두텁게 남아 있던 사회에 커다란 변혁을 일으켰다. 공과와 득실, 그가 남긴 후유증은 더 깊이 연구할 과제이나 우리 역사에서 그의 통치시기에
큰 틀에서의 전환이 이뤄진 것은 분명하다.

현재 여러 정치 상황과 맞물려 그에 대한 평가가 높은 수준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주장의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革은 본래 짐승을 잡아 가죽을 모두 벗긴 모습을 본 딴 상형(象形) 글자. 그래서 '가죽' 혁인데 의미가 '바꾸다', '완전히 바꾸다'로 확장됐다. 개혁(改革), 혁명(革命), 변혁(變革), 혁신(革新) 등이 그런 뜻이다.

'바꾸다'라는 의미의 한자는 많다. 변할 변(變), 될 화(化), 고칠 개(改), 고칠 경(更) 등등. 그러나 이런 자들은 본체는 그대로 두고 겉이나 속을 바꾸는 것인데 革은 짐승의 가죽을 베끼는 수준의 바꿈이다.

우리 역사는 앞으로도 革 수준의 변화를 몇 번 더 겪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나라 다운 나라를 만들고 민주선진국가를 만들고 민족통일을 이룩하고 자주(自主) 자존(自尊)하는 나라를 만들어야 하니….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