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지 형태로 내놓은 그의 주장은 이렇다. "경기도청과 도의회 갈등으로 경기도 예산안 심사가 파행되고 있다. 경기도 예산 집행이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 내년도 예산이 의결되지 않으면 '준예산' 사태가 10년 만에 현실이 될 수 있다"며 경기도지사의 소통 없는 행정이 원인이라 저격했다.
김 최고위원은 또 " 민주당이 소중히 지켜온 지방자치의 가치, 이재명 정부가 추구하는 '사람 중심, 공정한 나라', 이같은 국정 기조를 정면으로 거스르는 행동"이라며 " 본예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내년 1월부터 시행될 예정이던 '일산대교 통행료 지원' 같은 이재명 정부의 핵심 민생 사업들이 모두 차질을 빚게 된다. 이재명 정부의 지역 주권 시대가 예산조율 실패로 흔들리는 것 자체가 개탄스럽다"고 지적했다.
그러자 경기도는 이에 대해 사실 왜곡이라며 조목조목 반박하고 도의회 파행을 정쟁으로 끌고 가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먼저 예산안 파행에 따른 10년 만의 준예산 위기라는 지적에 대해 12월 초 의결 목표로 현재 심사가 진행 중이어서 준예산 현실화 가능성은 너무 과장됐다고 강조했다. 일산대교 통행료 지원 등 핵심 민생사업 차질, 214건 2440억 복지예산 일방 삭감에 대한 지적도 잘못된 것이라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난달 21일 공식 브리핑에서 "김동연 지사 지침으로 필수 복지 최대한 본예산 복원 + 부족분 1차 추경"을 약속한 사실도 적시했다. 그러면서 도의회 예산안 심사가 파행을 겪고 있는 것은 국민의힘 소속 양우식 도의회 의회운영위원장(비례)의 성희롱 발언에서 시작됐는데 오히려 경기도와 김 지사 책임 묻는 것은 언어도단이라며 이는 "아군에게 총질하는 모순"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김병주 최고위원을 비판이 알려지자, 경기도청 익명 게시판에는 비난 조롱글이 쇄도하고 있다. "직원들 성희롱 사건은 모른 체 하면서 자기 정치하려고 국민의힘과 소통하라고 하는 사람이 도지사를 하고 싶다고요? 그런 직장 상사 싫다"부터 "의회(국민의힘)에서는 이증도감(李增道減:이재명표 예산은 증액, 도민 예산은 삭감)이니 뭐니 하면서, 이재명 정부 예산만 증액한다고 난리고,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재명 정부의 기조를 따르지 않는다고 난리"라고 비꼬았다.
한편, 전국 공무원노조 경기도청지부도 입장문을 통해 "문제의 근원은 기소된 운영위원장을 그대로 두고 행정 감사를 감행하려 한 의회의 선택"이라며 "외부 요인으로 돌리거나 정쟁으로 몰아가는 것은 책임 회피이며, 본질을 흐리는 행태"라고 지적하며 김 최고위원에게 날을 세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