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 1위 위협' 엔비디아, 구글 견제 나섰나..."우리가 업계보다 한세대 앞서"

  • 메타 TPU 공급설에 긴장 고조...엔비디아-구글 AI 칩 경쟁 격화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AFP·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사진=AFP·연합뉴스]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 자리를 위협받고 있는 인공지능(AI) 반도체 1위 기업인 엔비디아가 자사의 칩이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 있다며 구글을 정면으로 견제하고 나섰다.
 
엔비디아는 2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공식 계정을 통해 "구글의 성공에 기쁘다. 구글은 AI 분야에서 큰 진전을 이뤘다"면서도 "우리는 계속 구글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는 입장을 냈다.
 
엔비디아는 "우리는 업계보다 한 세대 앞서 있다"며 "모든 AI 모델을 구동하고 컴퓨팅이 이뤄지는 모든 곳에서 이를 수행하는 것은 우리 플랫폼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엔비디아 제품은 특정한 AI 구조나 기능을 위해 설계된 주문형 반도체(ASIC)보다 뛰어난 성능과 다용성과 호환성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업계 1위인 엔비디아가 자사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 우위를 연달아 부각하는 것은 구글이 텐서처리장치(TPU)를 앞세워 엔비디아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10년 전부터 TPU를 개발해왔으며 최근 7세대 제품인 ‘아이언우드’를 공개했다. 또 기존처럼 자사 클라우드를 통해서만 TPU를 제공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직접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은 메타가 이 같은 방식으로 TPU 도입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계약이 성사될 경우 엔비디아와 메타의 기존 관계에도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평가다.
 
AI 챗봇 '클로드'를 운영하는 앤트로픽도 지난달 말 구글의 TPU 100만 개를 탑재한 클라우드 이용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수백억 달러에 달하는 규모로 구글 생태계에 무게를 실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실적발표 후 구글의 TPU와 관련해 "구글은 고객사이며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도 엔비디아의 기술로 구동된다"고 말한 바 있다.
 
구글은 이날 성명에서 "맞춤형 TPU와 엔비디아 GPU 모두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며 "우리는 수년간 그래왔던 대로 양쪽 모두를 지원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구글은 TPU 외에도 최근 출시한 AI 모델 제미나이3가 호평을 받으며 AI 경쟁에서 꾸준히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이에 이날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주가는 1.62% 오른 323.64달러로 신고가를 기록했고, 시가 총액도 3조 9060억 달러에 달해 4조 달러를 눈 앞에 두고 있다.
 
반면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장중 7% 넘게 급락하기도 한 가운데 결국 2.59% 하락한 177.82달러로 마감했다. 엔비디아는 최근 주가가 200달러를 웃돌며 시가총액도 5조 달러를 돌파했지만 현재 약 4조3210억 달러 수준으로 내려왔다. 두 기업의 현재 시가총액 격차는 약 4000억달러 수준으로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바뀔 가능성도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