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글로비스는 지난 18일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글로벌 로로 커뮤니티(GRC)' 총회를 공동 주최하고 업계 공동의 탈탄소 추진 방향을 모색했다고 20일 밝혔다.
GRC는 전 세계 자동차 운송 능력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로로(Roll-on·Roll-off, 자체동력으로 선적·하역할 수 있는 화물)' 사업자로 2024년 구성된 협의체다. 현대글로비스, 발레니우스 빌헬름센, 호그오토라이너, NYK 등 글로벌 주요 선사가 참여하고 있다.
올해 3분기 기준 총 94척(사선 35척, 용선 59척)의 자동차운반선을 운영하며 글로벌 시장 수위권에서 업계를 주도하는 현대글로비스는 이번에 처음으로 총회를 주최했다. 발레니우스 빌헬름센, 한국선급(KR), 글로벌 물류 탈탄소화 추진 기관 SFC(Smart Freight Centre)도 공동 주최자로 이름을 올렸다.
총회에서는 로로 사업자 중심의 신 해상운송 탄소집약 계수가 발표됐다. 공개된 계수는 전체 로로 사업자의 약 75%에 해당하는 선박의 실측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됐다. 기존 로로 업계에 적용됐던 계수는 실증 데이터가 아닌 연구 기반으로 도출된 값이어서 다소 업계 현실과 거리감이 있다는 목소리가 있었다.
총회 참석자들은 산업 내 높은 정보 커버리지를 통해 실증기반으로 도출된 이번 계수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4월 협의체는 완성차 전 과정 탄소배출(LCA·Life Cycle Assessment) 저감의 기반이 될 업계 공통의 해상운송 탄소집약 계수 필요성에 공감하고 새로운 탄소배출량 산정방법 연구에 돌입했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완성차 제조사가 선사별 탄소중립 성과를 비교하고 이를 기반으로 운송사를 선택함으로써 자동차 LCA 측면에서 탄소중립을 가속화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총회에서 완성차 비관세장벽 대응 측면에서 해운 탄소집약도 표준화의 의의를 발표하며 완성차 공급망 차원에서 물류기업의 탄소중립 역할에 대해 강조했다.
현대글로비스는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로드맵을 구축하고 본격적인 실행에 나서고 있다. 국가 탄소중립 목표인 2050년보다 5년 앞서 자체 설정한 것으로, 선박의 에너지 효율 향상과 저탄소 연료 확대 및 재생에너지 전환 등을 통해 달성하겠다는 전략이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이해관계자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더욱 투명하고 책임 있는 체계를 구축하며 물류 및 해운 공급망의 탈탄소 전환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