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도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비롯한 여야 예결위원들이 19일 국회에서 예산안 조정소위원회 사흘째 심사를 하고 있다. 예결위 예산소위는 이날 기획재정부, 국세청, 산업통상부, 기후에너지환경부, 고용노동부 등 기획재정·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기후환경노동위 소관 부처·기관의 예산안을 심사한다. [사진=연합뉴스]
김대식 국민의힘 의원은 19일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예산안조정소위원회에서 정부가 편성한 예비비에 대해 "민주당이 야당일 때였던 지난해 (예비비를 두고) 재해대책비로 대처가능하다고 일방 삭감했다"며 "여당이 되니 당정에서 4조2000억원을 편성한 건 꼼수 아닌가"라고 따져 물었다.
같은 당의 강승규 의원도 "정부가 바뀌었다 해도 1년 차이"라며 "예비비도 목적 예비비와 일반 예비비(특정 용도가 정해져 있지 않은 예비비)가 있는데, 민주당은 재해목적 예비비까지 1조원 삭감했다"고 말했다. 그는 "민주당이 지난해 추경(추가경정예산)까지 해놓고, 올해 단 한 번도 사과 없이 이렇게 편성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은 즉각 반박에 나섰다. 지난 윤석열 정부에서는 예비비가 불투명하게 집행된 데 따른 삭감이었고, 올해는 정상적인 행정부 운영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다. 민주당 예결위 간사인 이소영 의원은 "오히려 예산 협상 문을 스스로 닫고 계엄까지 선포해 여야 예산 관련 조정 가능성을 없앤 건 당시 정부와 여당"이라며 "국민과 야당을 설득하지 않고 계엄이라는 군사적 방법을 동원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예산소위에서는 기획재정부는 예비비 4조2000억원 편성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했지만, 여야는 예비비 적정 규모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