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 메시지 이어가는 국민의힘...지지율 정체 속 '전략 실효성' 논란 확산

  • TK 이탈·중도 외면 속 '사법 리스크'까지

11월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대장동 일당 7400억 국고 환수 촉구 및 검찰 항소 포기 외압 규탄대회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를 비롯한 의원 당원들이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11월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열린 "대장동 일당 7400억 국고 환수 촉구 및 검찰 항소 포기 외압 규탄대회"에서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를 비롯한 의원, 당원들이 규탄 구호를 외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이 10·15 부동산 대책과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 등을 고리로 대여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지만, 당 지지율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면서 강경 노선의 실효성을 두고 내부 불만이 쌓이고 있다. 6개월여 앞둔 내년 6월 지방선거를 이대로는 대비하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커졌다. 이번 주는 국회 패스트트랙 사건 1심 선고와 내란 특검 수사와 재판 등도 예고돼 있어 당의 부담은 더욱 가중되는 분위기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16일 보수 성향 유튜브 '이영풍TV'에 출연해 "이재명 정권과 협치는 불가능하다"며 "우파들은 이재명 정권이 사회주의 체제, 독재 체제로 가려고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연대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장 대표는 지난 12일 부정선거 음모론자이자 극우 성향인 황교안 전 국무총리 체포에 국회 내 규탄대회 현장에서 "우리가 황교안이다"라고 외쳤다. 장 대표는 이후 의원총회에서 해당 발언에 대해 "부정선거론을 옹호한 게 아니고 특검의 무도한 수사에 보수 인사들이 희생양이 되고 있는 점을 비판한 것"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중도 확장은커녕 극우 세력과 묶이는 건 치명적"이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여론 흐름도 장 대표의 강경 노선에 힘을 실어주지 못하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24%로 전주 대비 2%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대구·경북(TK)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42%에 불과했다. 보수 성향 응답자 중 55%만이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고 답했다. 중도층에서 국민의힘 지지는 19%로 민주당(42%)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당이 '강경 메시지'에 집중하는 동안 오히려 외연이 좁아지고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번 주부터 국민의힘의 사법 리스크도 본격화되며 지도부의 부담이 더 커지고 있다. 오는 20일에는 나경원 의원과 송언석 원내대표 등 다수가 연루된 패스트트랙 충돌 사건 1심 선고가 예정돼 있고, 27일에는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추경호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이 진행된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p, 접촉률은 47.5%, 응답률은 11.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