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을 비롯해 국가 AI 컴퓨팅센터 사업,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 등 우리나라 AI 생태계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6일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DAN25)' 기자간담회에서 "AI 전환 시대에 정부의 지침이나 방향에 잘 맞춰 기업 입장에서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겠다"면서 이같이 강조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날 기존 소버린 AI 개념을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한 '소버린 AI 2.0'을 발표했다. 김 대표는 "소버린 2.0을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면서 "네이버는 대한민국의 언어·데이터·산업 구조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기업으로, ‘한국형 소버린 AI 2.0’을 통해 산업 AI 전환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김 대표와의 일문일답
Q> 엔비디아 GPU 6만장 공급 예정인데 타임라인은 어떻게 되나
A> 아직 정확한 타임라인은 아직 나오진 않았다. 네이버는 원래도 1년에 몇 만장씩 사고 있었고, 이번에 6만장 확보로 이전보다 좀 더 과감하게 투자하는 일정을 잡고 있다.
이번에 확보한 6만장으로 네이버의 AI 기술인 하이퍼클로바X, 피지컬 AI는 물론, 오늘 발표한 에이전트N 서비스에도 굉장히 많은 GPU가 필요하기 때문에, 6만장도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다.
Q> AI 거품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A>네이버클라우드는 AI 거품론대해 예전부터 경각심을 높게 가져왔다. AI 기술에 투자하고, 기술이 만들어지는 것은 좋은데, 어찌됐든 그 기술로 어떤 가치를 만들어내느냐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가치를 만들어내려면 실제 서비스나 산업 영역에 적용돼야 한다. 네이버클라우드가 경량화 모델에 신경쓰는 이유다. 투입 비용 대비 그 가치가 더 커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건전한 구조를 만들기 위해 한국은행, 한수원, 대동,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등 기업과 여러 국가들과 투입된 비용 대비 가치를 낼 수 있는 AI 서비스 개발에 협력하고 있다.
Q. APEC에서 AI 인프라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됐는데, 네이버클라우드가 기대하는 부분이 있나
A>GPU 인프라 확보에 대해선 굉장히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기업과 정부가 힘을 합쳐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는 것에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GPU나 인프라를 확충한 사업자가 이것을 어디다 쓸 것이냐 이런 영역까지 (정부가)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또 회사가 모델을 만드는 사업자기도 하지만 GPU 인프라를 공급하는 사업자로서 전기값이 조금 덜 들게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국가를 위해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방식으로 (삼성SDS와 컨소시엄을 꾸려 참여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를 준비하고 있다. 어떻게 안정적으로 정부나 기업들이 GPU 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는지 고민하는 게 저희의 미션이라고 생각한다.
Q> 엔비디아와의 피지컬 AI 협력은 어떻게 진행되나
A> 피지컬 AI 활용 범위가 많아지는 곳에 대해 안정적인 인프라를 어떻게 확정할 것인지와 같은 기술적으로 논의해야할 부분들이 있다. 또 엔비디아가 글로벌 사업자니까,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플랫폼을 많이 제공하고 있다. 저희가 가지고 있는 기술의 일부를 엔비디아 플랫폼과 연계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조 AI에 어떻게 엔비디아 플랫폼을 연계할 지를 협력을 통해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Q>이달 말 공개되는 소형 휴머노이드 로봇은 어떤 용도이고, 향후 어떤 로드맵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하다
A>네이버는 로봇을 만드는 회사는 아니다. 피지컬AI 플랫폼이나 로봇 OS나 API가 실제 로봇에서 잘 작동하는 지 테스트하기 위해 다양한 로봇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아직 실체를 보진 못했으나, 이번달 말부터 네이버 1784 사옥에서 커피나 도시락 배달을 위해 걸어다니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Q> 이번에 공개한 루키 2.0 버전을 외부로 확장한다고 했는데, 협력 중인 기업이 있나
A>루키 2.0은 글로벌에서도 굉장히 선도적인 기술이고, 현재 협력을 논의하고 있는 기업도 있다. 기존 루키1.0보다는 제작이나 운영비용 측면에서 효율성이 좋아졌고, 기능과 성능 측면에서도 훨씬 업그레이드됐다.
Q. 네이버 디지털 트윈 기술 '아크'의 외부 사업 확장 현황이 궁금하다.
아크는 전세계적인 경쟁력이 있다고 자부한다. 디지털 트윈은 항공사진을 통해 3D 입체를 만들고 부족한 부분은 자동차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AI가 합성하는 데, 이런 부분에서 전 세계적인 경쟁력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아크를 선택한 이유도 이러한 경쟁력 때문이다.
지금은 2D 기반의 지도지만, 앞으로는 디지털 트윈의 3D 기반으로 바뀔 것이고, 그러한 디지털 세상에서 아크 기술이 조금 더 활발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세계적으로 1위 기술력을 유지하는 데 굉장히 애를 많이 쓰고 있다.
Q> 엔비디아 외에 다른 회사와의 GPU 협력이나, 자체 NPU나 AI 반도체 개발 계획이 있나
A> 전세계적으로 엔비디아 칩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많은 NPU 업체들이 도전하고 있다. 이제는 실험실에서 벗어서 실제 서비스에서 테스트 할 필요가 있다. 국내 업체인 퓨리오사에서 만든 칩도 적극적으로 테스트하고 있고, AMD, 인텔 등에서 만드는 GPU도 끊임없이 테스트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