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인멸·비자금 조성 '사실무근'"… KAI, 박선원 의원 의혹 제기 반박

  • "수명 다한 기기 폐기한 것"

KAI 본관 전경 사진KAI
KAI 본관 전경. [사진=KAI]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KAI가 불법적으로 무인기를 납품했고, 특검이 수사에 착수하자 증거 인멸을 시도했다'는 의혹에 "사실이 아니다"라며 전면 반박했다.

KAI는 30일 입장문을 통해 "담당 임원의 PC는 포맷이나 어떤 조치 없이 그대로 보존돼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규에 따라 수명 연한에 도달한 기기는 교체 및 폐기하고 있다"며 "올해는 10월에 저장매체를 탈거한 PC본체 및 노트북 본체, 모니터 등 전산기기 총 3132대를 폐기했다"고 강조했다.

앞서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스마트팩토리 관련 소송 △소형무인기 사업 관련 증거 인멸 △지분 투자와 비자금 조성 △자문료 특혜 △이라크 수리온 수출 △말레이시아 FA-50 수출 등의 의혹을 제기했다.

KAI는 "스마트플랫폼과 관련해 오직 객관적 사실에 기반해 대응하고 있으며 이는 정치적 사안과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비합리적인 지분 투자를 단행해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며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해명했다. KAI는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투자는 특정 경영진에게 자금이 흘러갈 수 없는 구조로 돼 있다"며 "투자금은 모두 투자회사 명의의 계좌를 통해 법적으로 관리되며, 모든 절차가 법무·재무 부서 및 외부 법무법인의 검증 하에 이뤄진다"고 밝혔다.

강구영 전 사장의 자문료 특혜 의혹에는 "강 전 사장의 자문역 선임 및 보수 지급은 당사 규정과 절차에 따라 정상적으로 진행됐으며, 모든 퇴임 임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며 "자문역에 대한 처우는 퇴임 당시 총연봉 기준 약 40% 수준으로, 이는 동종 업계 타사 임원 총연봉과 자문역 처우를 고려하면 업계 하위 수준"이라고 했다.

이라크 수리온 수출과 관련해서는 "대통령실로부터 어떠한 지시를 받은 바 없다"며 "선수금은 이라크 정부가 이라크 은행의 신용장(LC)에 입금했으며, KAI는 현재 해당 자금 인출을 위한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라고 일축했다.

말레이시아 FA-50 수출 문제 제기에는 "2017년부터 6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시장 개척과 마케팅 노력으로 얻어진 결과"라며 "특정 시기나 사건과의 연관성이 전혀 없으며, 경쟁력에 기반한 합법적이고 투명한 성과"라고 반박했다.

KAI는 "대한민국 국민과 국방을 책임질 국산 항공기의 안정적인 생산과 KF-21 개발을 성공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미래 사업에 대한 투자와 K-방산 수출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번 이슈로 인해 국내외 시장의 신뢰성과 기업 이미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사실 관계를 바로잡는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