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인이 그리는 '디지털 주권'의 미래…국가 단위 블록체인 인프라 실현 나선다

바이낸스 창립자 자오창펑CZ X 트윗 사진사인
바이낸스 창립자 자오창펑(CZ) X 트윗. [사진=사인]


블록체인 기술이 개인과 기업의 신뢰 인프라를 넘어 이제는 국가 단위의 디지털 주권 체계로 확장되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사인(Sign)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사인은 지난달 한국에서 열린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KBW)’ 기간에 신규 백서 『Sovereign Infrastructure for Global Nations(S.I.G.N.)』을 공식 발표했다. 백서는 블록체인 거버넌스가 ‘탈중앙화’의 철학을 넘어 ‘주권형 거버넌스 체계(Sovereign Governance Architecture)’로 발전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사인 백서의 핵심은 ‘더블 체인 아키텍처(Double Chain Architecture)’다. 이는 공공 행정·재정·정책 집행 등을 담당하는 퍼블릭 주권체(Sovereign Public Chain)와 금융 및 데이터 관리에 최적화된 프라이버시 허가형 체인(Privacy Permissioned Chain)으로 구성된다.

사인은 이를 통해 국가 단위 블록체인이 공공성과 자율성, 합법적 통제력을 동시에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회사 측은 “국가 주도 블록체인은 단순한 분산원장이 아니라 ‘디지털 주권(Digital Sovereignty)’을 구현하는 거버넌스 인프라로 자리 잡아야 한다”고 밝혔다.

사인은 이어 지난 24일 키르기스스탄 중앙은행과 공식 협약을 체결하고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프로젝트 ‘Digital SOM’을 본격 추진하기로 했다. Digital SOM은 약 720만 명의 키르기스스탄 국민을 대상으로 서비스되며 현지 스테이블코인 ‘KGST’와 연동된다.

이는 국가 신용 기반의 CBDC와 민간 스테이블코인이 병행되는 ‘이중 디지털 통화 체계(Dual Digital Currency Framework)’ 구축 사례로 평가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국내 결제, 세금 징수, 복지 지급 효율화는 물론 국경 간 결제 및 청산 시스템의 현대화를 달성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사인의 인프라는 화폐 유통을 넘어 국가 행정·세금·복지 등 공공 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핵심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바이낸스랩스에서 리브랜딩한 암호화폐 전문 투자사 YZi 랩스(YZi Labs)는 블록체인 인프라 스타트업 사인에 2550만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YZi 랩스를 비롯해 IDG 캐피털 등 복수의 글로벌 투자자가 참여했다. 사인은 이번 투자를 바탕으로 국가 단위 블록체인 인프라(Sovereign Blockchain Infrastructure) 구축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YZi 랩스는 전 세계 100억 달러 이상 자산을 운용하는 글로벌 투자사로 Web3·AI·바이오테크 분야를 포함해 25개국 300여 개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2024년 12월 진행된 초기 투자에 이은 후속 전략 투자로 디지털 주권과 실물 기반 유틸리티, 공공 부문 블록체인 도입을 가속화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YZi 랩스의 투자 파트너 다나 H(Dana H.)는 “사인은 ‘일상 인프라로서의 블록체인’을 현실로 만들고 있다”며 “사용자에서 기업 그리고 이제는 국가로 확장하는 사인의 행보는 디지털 주권과 공공 인프라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인은 이번 투자를 기반으로 BNB 체인과 협력해 각국 정부 및 공공기관을 위한 주권형 블록체인 응용 플랫폼(Sovereign Blockchain Application Platform) 구축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사인의 공동창업자이자 CEO 신옌(Xin Yan)은 “현재 크립토 산업은 기술은 풍부하지만 실제 채택은 부족하다”며 “사인은 화폐 시스템과 검증 가능한 증명 등 국가 핵심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해 블록체인이 사람들의 일상에 실질적 변화를 가져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사인은 태국, 한국, 중동 및 중앙아시아 각국 정부 기관과 협력 중이며 향후 10년 내 국가 단위 디지털화폐 및 신원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업계는 사인의 행보를 “블록체인이 탈중앙화의 철학적 이상을 넘어 국가 주권과 공공 인프라의 실질적 결합으로 진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평가한다.

블록체인 기술은 이제 개인의 금융 자유를 넘어 국가의 신뢰·투명성·정책 효율성을 뒷받침하는 디지털 기반 인프라로 재정의되고 있다. 사인의 도전은 블록체인이 ‘탈중앙화의 시대’에서 ‘주권형 네트워크 시대(Sovereign Blockchain Era)’로 진입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