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성제약, 거래 정지 5개월째…경영 정상화 방식 두고도 '갈등'

  • "인가 전 M&A 시 기존 주주 지분 희석"

2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변호사회에서 동성제약 최대주주가 설명회를 열고 있다
2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지방변호사회에서 동성제약 최대주주가 설명회를 열고 있다.

5개월째 매매거래가 정지된 동성제약 경영진과 대주주 간 갈등이 확전일로다. 이번에는 회생 절차를 두고 맞붙었다. 대표이사와 최대주주가 서로 다른 정상화 방식을 제시하며 주도권을 다투고 있어 소액주주 혼란도 커지고 있다.

동성제약 최대주주인 브랜드리팩터링은 29일 서울지방변호사협회에서 채권자 설명회를 열었다. 브랜드드리팩터링의 동성제약 지분율은 11.16%다. 브랜드리팩터링은 우선 자체 자금 200억원을 투입하고 이와 함께 대출 연장 등 재무 안정화를 우선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또 매출 증대와 수익 실현, 새로운 경영진을 세워 정상화를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재상장 역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브랜드리팩터링 측은 경영진의 회생 신청이 불필요한 절차였다고 주장한다. 특히 동성제약 측이 구상하는 인가 전 인수합병(M&A)은 기존 주주 지분율 희석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브랜드리팩터링 측을 대변하는 법무법인 로집사 이정엽 대표 변호사는 "인수자가 M&A 절차에서 얼마의 지분을 확보하는 조건으로 들어오느냐에 따라 기존 주주 지분율이 결정된다"며 "통상 인수자가 지분율 50%를 가져가려고 하는데 기존 주주 몫은 50% 밑으로 떨어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반면 동성제약 측은 법원이 진행 중인 회생 절차를 통해 인가 전 M&A을 추진해 정상화를 도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 21일에는 법원이 선임한 조사위원과 관리인이 참여한 설명회가 열려 회생 진행 현황이 공유됐다. 불과 일주일 간격으로 설명회가 두 차례 열리면서 회생 절차를 두고도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한쪽은 자금 조달과 경영진 교체를 통한 정상화를, 다른 한쪽은 인가 전 M&A 방식을 주장하면서 이해관계자 간 혼선이 커지고 있다.

동성제약은 회생 절차 개시 신청을 사유로 지난 5월 7일 매매거래가 정지된 상태다. 6월 하루 거래가 재개됐지만 주가는 2000원대에서 900원대로 급락했다. 지난해 말 기준 소액주주는 약 2만명에 달한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6월 동성제약을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으로 지정하고 개선 기간 9개월을 부여했다. 거래소는 개선계획 이행 내역, 기업 존속 가능성, 주주 보호 방안 등을 평가해 상장 유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