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석학 "트럼프-시진핑 부산회담, 우호적일 것...양국 모두 갈등 악화 원치 않아"

  • 존 미어샤이머 시카고대 교수 SCMP 인터뷰

  • "다극체제화 속 中, 美의 최대 경쟁국...도전 계속될 것"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AP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사진=AP·연합뉴스]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을 대표하는 석학인 존 미어샤이머 미국 시카고대 석좌교수가 오는 30일 부산에서 열릴 예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회담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어샤이머 교수는 27일 공개된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의 인터뷰에서 이달 말 한국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 전망을 묻는 말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그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꼽았다. 우선 미국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 미국은 중동과 우크라이나 전쟁에 깊이 관여하고 있어 동아시아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 어렵고 이에 따라 미국은 중국과 마찰을 빚는 걸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국의 경우에는 자국 내 경제·정치적 문제를 겪고 있어 미국과 갈등에는 관심이 없는 것은 물론 갈등이 악화되는 것은 더욱 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어 미어샤이머 교수는 "두 정상이 만나면 서로 동아시아에서 문제를 원하지 않는다는 걸 확신시키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부연했다.

양국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을 두고 대립하고 있는 데 대해서는 "틱톡이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대량학살 게시물을 많이 올리기 때문에 이스라엘이 미국에서 틱톡에 대한 우려를 조성하고 있다"면서 "미중 간에는 사소한 문제"라고 짚었다. 틱톡의 미국 사업권 매각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추진해 온 사안으로 미중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면서 핵심 쟁점 중 하나로 떠오른 바 있다.

그는 그러면서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온건한 행위자로 비치길 원하기 때문에 '윈-윈'을 외치고 있으나 이런 미중 경쟁은 본질적으로 제로섬 게임"이라며 "미국이 서반구를 장악한 것처럼 중국은 동아시아를 장악할 목적으로 해군의 세력 투사 능력을 키우려 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러나 미국은 이런 중국이 공해상을 지배하지 못하도록 막고 있으며, 그 공간이 바로 대만과 남중국해이고 이는 미중 양국 경쟁의 근원"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국제 질서가 빠르게 다극체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다극 체제화한 세계 3대 강대국 가운데 미국이 가장 강력하며 그중 약체인 러시아와 비교할 때 중국은 미국의 강력한 경쟁국"이라면서 "이미 유엔과 세계무역기구(WTO) 등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데 관심이 큰 중국의 도전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