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한국판 스타게이트 만든다...국내시장 청사진 발표

  • 오픈AI "한국 반도체, 정부 지원 등 강점…리더십 발휘 기회"

  • 산업·중소기업, 의료, 교육 등 분야에서 협력

  • 전남·경북 포항지역에 국내AI 데이터센터 건립도

사진오픈AI
[사진=오픈AI]

오픈(Open)AI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삼성전자, SK와 손잡고 '한국판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국내에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해 한국을 아시아 AI 허브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23일 오픈AI는 서울 더플라자 호텔에서 '한국에서 AI : OpenAI의 경제 청사진' 보고서를 발표하고 글로벌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한국을 거점으로 소버린 AI를 강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협력을 확대하겠다는 내용이 골자다. 

크리스 리헤인(Chris Lehane) 오픈AI 글로벌 대외협력 최고책임자(CGAO)는 이날 "새로운 지능의 시대에 돌입한 지금 한국은 반도체, 디지털 인프라, 인재, 정부 지원 등 강점을 바탕으로 리더십을 발휘할 기회를 갖고 있다"며 "이런 접근으로 한국이 단순 기술 수용국이 아니라 글로벌 표준을 제시하고 신뢰받는 확장형 AI 시스템 제공국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한국의 AI 수용도가 빠르다고 진단했다. 리헤인 CGAO는 "한국 주간활동사용자(WAU)는 약 1700만명으로 전년 대비 4배 늘었다"며 "인구 대비 구독률은 전 세계 1위로 서울은 오픈AI 영상 생성 AI '소라' 사용 인구도 1위"라고 짚었다. 

이에 오픈AI는 산업·중소기업(SME), 의료, 교육 등 빠른 성과를 낼 수 있는 분야부터 협력을 시작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기술·정책·금융이 결합한 'AI 국가 패키지'로 확장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이번 발표는 지난 1일 과기정통부, 삼성전자, SK와 체결한 양해각서(MoU)를 구체화한 후속 조치다. 오픈AI는 해당 협약을 기반으로 국내 AI 데이터센터 개발에 참여한다. 삼성·SK는 각각 디램(DRAM) 웨이퍼를 오픈AI에 공급한다. 이와 같은 국가 단위 민관 협력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첫 사례다. 

오픈AI는 이들과 협력해 전남·경북 포항 지역에 AI 데이터센터 개발을 추진한다.

리헤인 CGAO는 "한국 정부의 국가AI 컴퓨팅센터 사업은 직접 협의를 진행하고 있지 않지만 한국 정부 요청이 있다면 언제나 열려 있다"며 "AI 데이터 구축은 다양한 버전으로 논의 중"이라고 했다.

오픈AI는 국내 스타트업과 협력한다는 비전도 제시했다. 리헤인 CGAO는 "데이터센터가 가동되면 스타트업, 대학, 공공기관이 고성능 컴퓨팅 자원에 접근하는 '공공 컴퓨팅' 구조도 고려 중"이라며 "이것이 'K-AI 생태계'의 강력한 토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한국이 지금처럼 빠른 속도로 발전한다면 올해는 '에이전틱 AI’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2026년에는 의료와 과학, 2027년에는 로보틱스 분야에서 AI 물리적 확장이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