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10년 동안 법정감염병 발생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국내 감염병 지형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이 질병관리청의 법정감염병 발생 통계를 분석한 결과 2016년 14만4000건이었던 법정감염병 발생 건수가 2024년에는 17만4000여건으로 3만건(20.8%) 증가했다.
백일해 발생 건수는 2016년 129건에 불과했지만 2024년에는 4만8048건으로 늘어나 무려 약 372배 급증했다. CRE 감염증도 2017년 5717건에서 2024년 4만2347건으로 약 7.4배 증가했다. 성홍열(제2급)은 한때 감소세를 보였으나 최근 다시 9103건으로 반등했다.
발생 건수가 줄었음에도 여전히 규모가 큰 질환도 있다. 결핵(제2급)의 경우 2016년 3만9245건에서 2024년 1만7944건으로 절반가량 줄었지만 여전히 2025년 8월까지 1만1928건이 발생했다. 수두(제3급) 역시 2016년 5만4060건에서 2024년 3만1892건으로 감소했지만 2025년 8월까지도 2만988건이 발생했다.
최근 들어 새롭게 관리 대상이 된 질환이나 전수 감시로 전환된 질환의 발생도 꾸준하다. E형간염(제3급)은 2024년 756건에서 2025년 8월 552건이 집계됐으며 mpox(제3급)도 2024년 17건, 2025년 8월 10건이 발생했다. C형간염(제3급)은 2024년 6444건에서 2025년 8월 3844건으로 나타났다. 2024년부터 전수 감시로 전환된 매독(제3급)도 신고가 가시화되면서 2024년 2790건, 2025년 8월 1521건이 보고됐다.
기존 질환뿐만 아니라 신흥 감염병 발생도 계속되고 있어 질병 감시망을 상시적으로 유지하고 조기 대응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소 의원은 "백일해와 CRE 감염증 같은 신흥 위험 감염병이 급증하는 한편, 결핵과 수두처럼 줄었지만 여전히 규모가 큰 질환도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며 "전수 감시 질환을 조기 경보체계와 연계하고 신고 지연 문제를 개선해 감염병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