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과일 곰팡이병' 억제 효능 갖춘 항균물질 발견

  • 새로운 작물보호제 소재로 활용 기대

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사진=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최근 안양천 등 우리나라 담수 환경에서 ‘과일 곰팡이병(과수 탄저병)’의 억제 효능을 지닌 담수미생물 균주와 신규 항균물질을 찾았다고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2021년부터 ‘담수균류 유래 바이오 작물보호제용 원천소재 발굴’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유용 담수균류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한 작물보호제 개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연구진은 과수 탄저병균에 대해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균주 2종‘아스퍼질러스 플로코수스’, ‘스트렙토마이세스 카니퍼루스’을 발견했다.
 
두 균주는 과수 탄저병균의 균사생장을 7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동일한 균주를 고추의 모종에 처리했을 때 줄기의 길이와 굵기가 약 30% 증가하는 등 생육이 뚜렷하게 향상되는 결과가 확인돼 식물생장 촉진능력도 입증됐다.
 
해당 연구 결과는 이달(10월) 안으로 특허가 출원될 예정이다.

또한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은 2019년 3월에 같은 안양천에서 발견한 에드니아 균주에서도 과수 탄저병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했다.
 
연구진은 후속 연구를 통해 에드니아 균주가 생산하는 새로운 구조의 펩타이드계 항균물질 2가지를 발견했고, 현재 이를 활용한 과수 탄저병 방제용 친환경 작물보호제 실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의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실장은 “국내 담수환경에서 발견한 생물자원으로부터 과수 탄저병 방제에 활용 가능한 새로운 소재를 확보한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담수생물자원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적극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