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장관 "美 구금·투자 지연 엄중 인식…안전 확보·권익 보호 총력"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18일(현지시간) "정부는 지난 미국 구금 사태와 투자 프로젝트 지연 상황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우리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기업의 해외투자 권익을 보호하는데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미국 조지아주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과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를 찾아 이같이 밝혔다. 지난달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건설 현장에서는 직원 구금 사태가 발생한 바 있다. 이에 김 장관은 업계 애로사항을 확인하고 건설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그는 "지난 유감스러운 사태에도 불구하고 이차전지는 한·미 간의 대표적인 첨단 공급망 협력 분야인 만큼 경제안보 협력 관계가 공고하게 지속돼야 한다"며 "한·미 협력이 호혜성을 전제로하는 만큼 협력 관계를 이어나감에 있어 우리 국민과 기업의 정당한 권익이 침해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적인 개선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자 문제와 관련해서는 현재 '한·미 상용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이 가동돼 제도 개선을 위한 양국 간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기업의 건의사항을 토대로 미국과의 협의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또 현지공장에서 사용되는 소재·장비 반입 관련 불확실성 최소화, 현지 환경 규제·인증제도 대응 부담 완화, 전기차 수요 정체 상황에서의 신규 수요 창출 등 현장에서 체감하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도 지속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미국 상무부 등 주요 인사와의 면담을 계기로 우리 기업의 대미 투자 프로젝트 추진과 관련한 적극적인 지원을 미측에 당부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고위급 채널을 활용한 대미 협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간담회 후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 건설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조속한 건설 정상화를 위해 노력 중인 현장 직원들의 노고를 격려했다. 그는 "건설 작업 과정에서 우리 기업이 현장 안전관리 등에도 각별히 유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현대차 공장을 찾아서는 인공지능(AI)·로보틱스를 활용한 최첨단 자동화 제조설비 현장을 확인한 뒤 "우리 기업이 AI 기반의 제조 혁신으로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정부도 필요한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