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박지영 특검보는 서울 서초동 고등검찰청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외환 의혹 조사와 관련해 오전 10시 14분부터 윤 전 대통령 조사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7월 재구속된 이후 줄곧 수사기관의 수사와 내란재판에 불참했으나 이날 수사기관에 처음 자진 출석했다.
특검팀은 평양 무인기 투입 등 외환 의혹과 관련해 서울구치소에 수감된 윤 전 대통령에게 지난달 24일과 30일에 출석을 각각 통보했으나 그는 응하지 않았다. 이에 특검팀은 최근 체포영장까지 발부 받아 강제 인치를 준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은 특검과는 다른 주장을 펼쳤다. 변호인단은 입장문을 통해 "오전 7시 30분경 피의자가 세면도 하지 못한 상태에서 교도관들이 기습적으로 영장을 집행하려는 상황이 벌어졌다"며 "교도관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윤 전 대통령이 세면도 하지 못하고 옷만 챙겨입고 자진 출석했다"고 주장했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의 조사는 박향철 부장검사와 문호섭 검사가 담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윤 전 대통령 측에서는 김홍일·배보윤 변호사가 조사에 입회했다.
다만 특검측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이 자진 출석을 했으나 진술거부권을 행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박 특검보는 "인적 사항부터 일체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 영상 녹화 조사도 거부해서 현재 일반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변호인단도 입장문을 통해 "이미 1·2차 조사 당시 특검의 주요 질문에 충분히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모든 질문에 진술을 거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진술거부권을 행사해도 준비한 질문지를 모두 소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의 돌발상황까지 차단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 특검보는 "만약 조사 중에 돌아가겠다고 하면 체포영장을 언제든지 교도관을 통해 다시 재집행 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만약 조사가 오늘 마무리되지 않을 때엔 다시 영장을 집행해서 데려오는 방식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북한을 도발하고자 지난해 10월께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김용대 드론작전사령관, 이승오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 등과 공모해 드론작전사령부에 평양 무인기 투입 작전 등을 지시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특검팀은 김 전 사령관, 이 전 본부장 등 주요 관계자들을 차례대로 소환 조사해 혐의를 다져왔다.
특검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제기된 의혹을 조사한 뒤 혐의 내용을 확정해 이달 중 추가 기소할 것으로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