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팀]
통화량이 3년 만에 8% 넘게 증가했다. 정부의 확장 재정 기조와 증시 훈풍으로 8월 통화량이 56조원 가까이 증가했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8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은 전월보다 1.3%(55조8000억원) 증가한 440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수준이자, 5개월 연속 증가세다.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8.1%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2년 7월(8.3%) 이후 처음으로 8%대로 올라섰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이 7%를 넘으면 시중 유동성이 주식·부동산 시장으로 흘러갈 가능성이 큰 신호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8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평잔)은 전월보다 1.3%(55조8000억원) 증가한 4400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사상 최대 수준이자, 5개월 연속 증가세다.
M2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8.1%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2년 7월(8.3%) 이후 처음으로 8%대로 올라섰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표=한국은행]
실제로 8월엔 수익증권이 12조8000억원 늘었다. 수익증권에는 상장지수펀드(ETF) 등 주식형 펀드 상품이 포함된다. 투자 대기성 자금인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14조3000억원, 정기예적금도 8조3000억원 각각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증권은 채권형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지속한 가운데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은 지방정부 재정집행 자금 일시 예치 및 투자대기성 자금 유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기예적금은 일부 은행의 예대율 관리 목적 예금 유치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업(25조9000억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16조9000억원), 기타 금융기관(10조4000억원), 기타부문(4조6000억원) 등 모두 증가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312조8000억원)은 전월보다 1.5% 증가했다. 금융기관유동성인 Lf(5970조6000억원)는 1.1% 늘었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증권은 채권형을 중심으로 증가세를 지속한 가운데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은 지방정부 재정집행 자금 일시 예치 및 투자대기성 자금 유입으로 증가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기예적금은 일부 은행의 예대율 관리 목적 예금 유치로 늘었다"고 설명했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업(25조9000억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16조9000억원), 기타 금융기관(10조4000억원), 기타부문(4조6000억원) 등 모두 증가했다.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만 포함하는 좁은 의미의 통화량 M1(1312조8000억원)은 전월보다 1.5% 증가했다. 금융기관유동성인 Lf(5970조6000억원)는 1.1% 늘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